공공임대 관련해서 궁금한 점들이 많아요
크게 청약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공임대, LH 및 SH 공공임대가 있는 거 같은데, 각각 간단한 설명 (공통점 및 차이점 포함) 부탁드립니다. 혹시 각각 소득요건은 작년 기준이 맞나요? 제가 작년에 외국에 있었어서 소득이 없는데, 그럼 소득요건 충족이 되는건지.. 공고마다 다른건지.. 아니면 입주 후 소득요건 채우면 바로 나가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 LH 및 SH의 공통점은 우리나라 주거취약층에 주거를 제공하는 복지 차원 임대아파트라 보시면 되고,
LH는 국토교통부 산하, SH는 서울시 에서 주관을 하는 기관입니다. 공통적으로 무주택자이면서 기준 소득 및 자산 이하자여야 하고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모집공고문을 보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소득의 경우 지난년도 기준으로 하되 최근 3개월 또는 건강보험료 납입액으로 추정을 해서 소득을 산출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크게 청약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공임대, LH 및 SH 공공임대가 있는 거 같은데, 각각 간단한 설명 (공통점 및 차이점 포함) 부탁드립니다. 혹시 각각 소득요건은 작년 기준이 맞나요?
==> 네 맞습니다.
제가 작년에 외국에 있었어서 소득이 없는데, 그럼 소득요건 충족이 되는건지.. 공고마다 다른건지.. 아니면 입주 후 소득요건 채우면 바로 나가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소득여건이 초과되는 경우 연장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공공임대는 국토부 주관이며 전국민 대상이고 다양한 공공주택 청약이 모여 있습니다.
LH 공공임대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운영하며 전국(서울 제외)이 주요 대상이고 매입 임대, 전세임대, 국민임대, 영구임대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H는 서울도시주택공사로 서울 거주자 대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는 기관(LH, SH)에 따라 조건이 조금씩 다릅니다
소득요건은 대부분 전년도 기준이나, 예외적으로 올해 소득 기준 적용 가능합니다
입주 후 소득 증가로 인해 당장 퇴거되진 않지만, 재계약 시 기준을 초과하면 퇴거될 수 있음을 유의하세요
지원하려는 주택의 모집공고를 꼭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모집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큰 공통점이라면 온라인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는 공식 청약 플랫폼이라는 것입니다.
차이점을 설명드리면 LH는 전국 임대주택이라는 부분과 SH는 서울시 임대주택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소득 요건의 경우에는 공고별로 전년도 기준이 적용이 되며 전년도 국내 소득이 없다면 무소득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입주 후 소득이 증가한다면 바로 퇴거 방식이 아니고 재계약 시점에 재계약이 제한이 되거나 임대료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나 모든 해당 공고의 모집요강을 찰 체크하시고 확인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