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머쓱한등에293
머쓱한등에29321.03.16

MAST 알레르기 혈애검사를했는데 이상이 없는데 가려움증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른 검사방법이 어떤게 있을까요?

알레르기 약을 복용중인데 하루단위로 가려움 증상 지속 몸 전체해당, 병원에서는 약을 장기간 복용해도 괜찮다고하는데.. 2-3년전부터 증상이 있어 약을 계속 복용중인데 그래도 장기간 복용하면 좋을리가 있을까요! 그래서 원인을 찾을수 있는 다른 검사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 혈액검사는 크게 MAST, 총 면역글로불린E, 특이 면역글로불린E 검사가 있습니다.

    MAST 검사에 이상이 없었더라도 총 면역글로불린 E가 상승해 있다면 향후 관련 수치가 정상인 분에 비하여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 MAST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MAST 검사는 원인 알레르겐을 추착하기 어려운 경우나 알레르겐 감작 가능성이 있을 경우 여러 가지 알레르겐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피부반응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가능하며, 소량의 혈액으로 흡입성, 식이성을 포함한 대표적인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빠른 시간 안에 선별할 수 있습니다. (약 90여개의 항원 검사)

    2) 총 면역글로불린 E (total IgE)

    Total IgE는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에 관여하는 단백지르이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종종 "알레르기 항체"라고 불립니다. 실제 알레르기 환자군에서 총 total IgE가 비 알레르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specific IgE에 상관없이 total IgE 농도 증가는 알레르기 증상의 발현이나 악화와 연관성을 보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알레르기 항원 검사 결과 음성이더라도 total IgE가 증가되어 있으면 추적 검사 결과 향후 알레르기 질환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특이 면역글로불린 E (Specific IgE)

    알레르기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가 강하게 의심될 때 시행합니다. 다른 검사에 비해 정확도와 민감도가 우수합니다.

    이외에도 피부반응검사가 있으나 현재는 검사의 제약으로 인해 많이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 증상으로 고생중이신 것 같습니다.
    MAST 피검사 이외에 skin prick 검사라고 시침을 통한 검사도 있습니다.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유발원을 검사하여 확인하고, 적극적인 회피요법 (피하는 요법)을 권하게 됩니다.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며 증상을 조절하게 됩니다. 보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 면역요법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 검사는 흔하게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한 검사만 진행합니다. 그 외의 여러 원인에 의해서도 두드러기가 유발될 수 있어서 원인을 찾기는 어렵지요. 2~3년 정도 지났다면 앞으로도 증상이 좋아질 때까지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