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슴은 어떤 종인가요?
미국의 사슴은 굉장히 크기가 크던데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사슴의 이름은 무엇이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에 주로 서식하는 사슴류에는 고라니, 대륙사슴, 그리고 노루가 대표적입니다. 고라니는 뿔이 없는 대신 수컷에게 긴 송곳니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며 크기가 작은 편이고, 대륙사슴(꽃사슴)은 수컷이 가지가 있는 뿔을 가지며 여름털에 흰 반점이 나타나는 중형 사슴입니다. 이들은 북미 대륙의 엘크나 무스와 같은 대형 사슴 종류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체구가 작은 편이며, 특히 노루는 이들 중에서도 비교적 작은 체구에 짧고 단순한 구조의 뿔을 가집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4종의 사슴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유명한 고라니입니다.
고라니는 뿔이 없는 대신 길고 뾰족한 송곳니가 발달한 것이 특징입니다. 몸길이는 70~100cm, 몸무게는 10~15kg 정도로 비교적 작습니다. 습지나 갈대밭 등에서 주로 서식하며,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두번째는 꽃사슴입니다.
몸에 흰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사슴이었지만 지금은 멸종위기종입니다. 몸길이는 90~190cm, 몸무게는 25~130kg 정도입니다. 수컷에게만 뿔이 있으며, 뿔은 매년 봄에 새로 자라 가을에 떨어집니다.
세번째는 노루입니다.
노루는 작고 날씬한 체형에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에는 붉은 갈색, 겨울에는 회색빛을 띤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수컷에게만 짧은 뿔이 있으며, 몸길이는 90~150cm, 몸무게는 20~30kg 정도입니다.
마지막은 이름이 상당히 많은 말사슴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백두산사슴, 붉은사슴, 북한에서는 누렁이라고 부르는 종이죠.
남한에는 서식하지 않고 북한에 서식하는 사슴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슴 중 가장 큰 덩치를 자랑합니다. 과거에는 백두산 일대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몸길이는 2m 이상, 몸무게는 200kg을 넘을 정도로 큽니다. 수컷의 뿔은 매우 큰 것이 특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슴은 주로 고라니와 꽃사슴입니다.. 고라니는 뿔이 없고 수컷은 송곳니처럼 생긴 엄니가 있으며 몸집이 작고 야행성이 강합니다. 꽃사슴은 몸에 흰 점 무늬가 있고 수컷은 가지처럼 갈라진 큰 뿔을 가지며, 고라니보다 몸집이 크고 주로 낮에 활동하며 무리를 지어 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