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미국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수입을 자제하라고 하는것에 반기를 들자 수입관세를 25% 부과한다는 데 인도의 배짱 이유가 궁금합니다.

미국이 인도에 대해 러시아산 원유수입을 자제하라고 하는것에 반기를 들자, 수입관세를 25% 부과한다고 하는 데 인도의 배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 이유는 어떤 사항들이 숨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도와 미국의 무역 관세 협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은 현재 BRICs 국가들을 흔들고 있는데

    이 나라들은 어느 정도 경제가 튼튼한 국가들이기에

    미국의 엄포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인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원유를 수입하는 나라로, 자국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원 확보가 필수입니다.
    러시아산 원유는 서방 제재 이후 '할인된 가격'에 공급되고 있으며, 인도는 이를 통해 정유 마진을 극대화하고, 국내 연료비를 낮추는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면 국민경제와 산업기반에 큰 충격이 오기 때문에, 쉽게 물러설 수 없을 것입니다.

    또한 2024년 총선에서 승리한 모디 총리는 ‘국익 우선주의’를 내세워 강한 민족주의 기반의 리더십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압박에 굴복할 경우, 국내 지지층으로부터 “굴욕 외교”라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가 배짱을 부리는 게 아닙니다. 인도측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브릭스를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 질서에 반기를 든 국가들의 모임으로 규정한 가운데 브릭스 핵심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가 이번 관세 보복의 중심에 서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겉으로 보면 인도가 미국 눈치 안 보고 배짱 부리는 것처럼 보이긴 합니다. 근데 조금만 들여다보면 이게 단순한 고집은 아닙니다.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통해 에너지 비용을 낮추고 있고 이게 국내 물가 안정이랑 직결됩니다. 당장 끊으면 정치적으로도 부담이 큽니다. 또 미국과 갈등이 커지더라도 중국 견제라는 공통 이해가 있기 때문에 쉽게 틀어지지 않을 거라는 계산도 있는 듯합니다. 한편으로는 인도도 나름대로 미국산 무기나 기술을 계속 들여오고 있어서 전면 충돌은 피하려 할 겁니다. 결국 외교적으로 밀고 당기면서 자기 이익을 챙기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는 큰 나라 중의 하나입니다. 인구수가 많기 때문에 내수산업으로도 어느 정도 경제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수출 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세는 경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적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입에 경제의 많은 부분이 기대어 있는 경우에는 관세 영향이 클 수 있지만 내수 시장이 큰 나라의 경우에는 관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