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은 어떤 방식으로 저항했나요?

무장투쟁이나 문화운동 등 여러 형태의 독립운동이 존재했는데, 당시에 일반 조선인들이 실제로 참여한 사례와 그에 대한 일제의 탄압 수단까지 폭넓게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습니다. 우선 1910년대 무단통치 시기에는 국내적으로 항일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투쟁하였습니다. 예를들어 독립의군부, 대한광복회가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해외에서는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여 장기적인 무장투쟁을 준비하였습니다. 예를들어 서간도 삼원보, 북간도 명동촌, 용정, 연변 등, 그리고 연해주 신한촌이 대표적입니다.

    일제의 무단통치에도 1919년 3.1운동이 전국민,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다양한 민족운동이 전개됩니다. 특히 국외에서는 1919년 임시정부 수립과 만주를 중심으로 한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의열투쟁이 전개되었습니다. 국내적으로 실력양성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학생운동, 여성운동, 형평운동 등이 전개되었으며, 사회주의 확산과 함께 민족유일당 운동도 전개되었습니다. 그외에도 민족문화 수호운동으로 한국사연구, 한글연구 및 보급 운동, 종교 운동, 언론운동 등 문화 투쟁도 전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일제가 중일전쟁을 일으키자 중국 관내에서 1938년 조선의용대가 조직되고, 1940년에는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이 창설되면서 한중연대에 의한 무장투쟁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