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세심한멧토끼125
세심한멧토끼125

다발성 골수종인가요?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6

제가 벨마비가 온 뒤로ㅈ건강염려증이 생겼습니다 6월5일에 검사한 혈액검사인데 뼈가 아픈거 같아 문의드립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 1번 째 사진
  • 2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혈액검사 결과지만으로는 알기 어렵습니다.

    다발성 골수종이 걱정되신다면 혈액종양 내과를 방문하여 진료와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제공된 혈액검사 결과를 토대로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된 일반적인 징후를 살펴보면, 몇 가지 항목이 주목할 만하지만 직접적으로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기에는 부족합니다. 다발성 골수종은 혈액과 뼈에 영향을 미치는 암으로, 흔히 빈혈, 고칼슘혈증, 신기능 이상, 뼈 통증 등을 동반합니다.

    검사 결과에서 눈에 띄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Glucose(포도당): 154 mg/dL로 높음 (참고치: 70-110 mg/dL).

    반면, 중요한 몇 가지 지표는 정상 범위 내에 있습니다:

    Hemoglobin(헤모글로빈): 14.9 g/dL (참고치: 13.5-17.5 g/dL).

    Creatinine(크레아티닌): 1.11 mg/dL (참고치: 0.60-1.10 mg/dL).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 검사들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혈청 단백 전기영동(SPEP)과 면역고정 전기영동(IFE): M-단백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함.

    2. 뼈 생검: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플라즈마 세포를 확인하기 위함.

    3. 소변 분석: 벤스-존스 단백을 확인하기 위함.

    4. 영상 검사: 뼈의 손상을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 MRI, CT 등이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만으로 다발성 골수종을 확진할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다발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골수 천자와 생검을 통해 골수에서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형질세포를 확인하고, 혈액과 요검사를 통해 면역글로불린의 종류와 형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검사로는 다발성 골수종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혈액검사와 요검사(전기영동검사라는 다른 종류의 검사)를 우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