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포장된 식품이 손에 달라 붙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냉동고에 보관한 얼음 덩어리는 손에 달라 붙지 않는데 냉동 포장된 식품 등을 꺼낼 때는 손에 달라 붙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냉동 포장된 식품이 손에 달라 붙는 현상은 "프리징"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리징은 식품이 얼기 시작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 분자가 고체로 변하면서 식품의 겉면에 얼음 결정체가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식품과 손 사이에 물 분자가 고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식품이 손에 달라 붙는 것입니다.
냉동 포장된 식품이 손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품을 해동하기 전에 냉동 포장을 제거한 후 식품의 표면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품을 냉동보관할 때는 식품의 겉면에 물이 적게 달라붙도록 냉동기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냉동 포장된 식품이 손에 달라 붙는 현상은 "냉동 감쇠" 또는 "냉동 점착"이라고 불리며, 식품에서 물분자가 결정화되어 얼어붙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가 급격한 열에 의해 승화하여 기체가 되는 현상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얼음을 만지면 얼음이 급격한 우리 손의 열에 의해 기화 수증기가되고 이떄 피부 표면의 수분이 열을 빼앗기면서 응고 얼음이 돼 달라 붙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손에는 항상 미량의 물이 있습니다.
냉동식품 포장지에 손을 올리는 순간 손의 체온에 의해 포장지 겉면에 있던 얼음은 살짝 녹고 손의 체온은 급격히 떨어지면서 손에 있는 미량의 물과 살짝 녹은 물 마저 어는 점 아래의 온도가 되고 순간적으로 그 물이 얼게 됩니다.
그럼 손이 포장지에 얼음에 의해 붙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꽁꽁 얼어붙은 물질을 손으로 잡거나 입 혓바닥에 살짝 달라붙는 느낌이 들었을때가 있을겁니다.
그 이유는..
꽁꽁 얼어 있는 물질은 약간의 수분기가 있는 물건을 갖다대면 그 표면에 물기나 습기가 순간적으로
같이 얼게 되어 한몸이 되어 버리는 현상으로 붙어버리는 현상이 나옵니다.
냉동실에 얼려있는 각 얼음을 손을 잡았을때 살짝 붙는 느낌이 드는 것은 손에 미세한 땀샘에 의한 수분이
얼음이 닿자말자 땀샘 수분이 같이 얼어서 붙는 현상입니다.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