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의 소리를 못 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주파의 소리를 들려줬을 때 나이가 어릴수록 잘 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릴 때 들리던 소리가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영역대를 가청주파수라 합니다. 보통 20~2만㎐ 사이를 가청주파수 영역대라고 하는데, 숫자가 낮을수록 낮은 소리, 높을수록 높은 음역대 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이때 나이가 들 수록 소리가 잘 안 들리는데요, 특히 나이가 들면 청력이 약해져 50대는 1만2,000㎐, 40대는 1만4,000㎐, 30대는 1만6,000㎐, 20대는 1만8,000㎐ 이상을 거의 들을 수 없습니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영역이 좁아진다는 의미인데요, 사람의 귀 고막에는 청신경전달계인 달팽이관이 연결돼 그 입구에서 고주파를 감지하고, 점차 안쪽으로 갈수록 저주파를 느끼게 되는데, 나이가 많거나 큰 소리를 많이 듣게 되면 달팽이관 입구의 신경세포가 손상돼 고주파 음부터 듣지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나이가 들면 고주파 소리를 듣기 힘든 이유는 자연 노화 현상으로 인한 달팽이관 입구의 신경세포 손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어린이의 귀는 구조적으로 더 유연하고 민감합니다. 특히 달팽이관의 감각 세포가 잘 발달되어 있어 고주파 소리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귀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합니다. 특히 청각세포와 신경이 손상되거나 퇴화하여 고주파 소리를 감지하는 능력이 감소합니다. 이 현상을 노화성 난청이라고 합니다.

  • 나이가 들면서 고주파 소리를 잘 못 듣는 이유는 주로 귀의 구조물 중 하나인 달팽이관의 변화 때문입니다.

    달팽이관은 소리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기관입니다. 달팽이관 안에는 유모세포라고 불리는 미세한 털들이 촘촘하게 나 있는데, 이 털들이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고 신경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말씀하신 고주파 소리는 달팽이관 입구 부근에 있는 유모세포를 자극하게 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이 부분의 유모세포가 먼저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주파 소리를 잘 못 듣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어릴수록 고주파 소리를 잘 듣는 이유는 귀의 구조와 청각 세포가 더 건강해서 그래요

    나이가 들면서 청각 세포가 손상된답니다.

  •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 소리를 못 듣는 이유는 내이에 있는 달팽이관의 유모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고주파수를 감지하는 유모세포는 달팽이관의 기저부에 위치해 있어 손상되기 쉬운데, 이러한 손상은 주로 노화나 지속적인 소음 노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어릴 때는 이 유모세포가 건강하고 손상이 적어 고주파 소리도 잘 들리지만, 나이가 들수록 손상이 누적되어 고주파 소리를 점점 더 듣기 어려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