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피부에 생기는 질환이며 감기와 전혀 다릅니다.
대상포진은 신경절을 따라서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몸통뿐만이 아니라 얼굴에도 발생 가능합니다. 발생 시 같은 신경절이 관장하는 피부 영역에 넓게 생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눈 쪽에 생긴다면 오른쪽 귀 부분과 뒤통수까지 포함하여 함께 증상이 생깁니다.
증상은 국소적인 수포를 동반한 피부증상과 함께 심하면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치료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 것이지만, 그대로 두셔도 자연 치유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피부과에 내원하셔서 치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제목과 본문 내용이 다르시네요 ;;
유산균 제품들은 효과가 대부분 비슷합니다. 가루로 된 제품들 보다는 캡슐로 된 제품들이 대장까지 유산균을 잘 전달해줄 수 있어서 좋다고 판단됩니다.
대상포진은 피부에 군집성 수포를 발생시키고 신경통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감기는 상기도 감염이기 때문에 목통증,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을 유발합니다.
초기에 쇠약감이나 몸살기운이 비슷할 수 있다는 점때문에 비슷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동반되는 증상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쉽습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확인되면 즉시 항바이러스제 복용 및 피부 도포를 하는게 유병기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감염의 초기에 특징적인 피부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일반인은 증상만으로 감별이 어렵습니다.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수두에 걸리지 않은 사람에게만 전파되고, 감염된 사람은 수두에 걸리게 됩니다.
대상포진 환자의 피부에도 바이러스가 있기는 하지만, 전신으로 파종된 대상포진 환자가 아닌 경우에는 피부에 있는 바이러스가 공중으로 나아가서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전파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염력은 강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신생아나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대상포진 환자를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두에 걸린 경우는 호흡기를 통해서 바이러스가 아주 잘 전염될 수 있으므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은 피부 깊은 부위에서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므로 심하게 앓거나 세균에 의해 염증이 악화되면 흉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발생하는 흉터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깊이는 매우 다양하여, 매우 얕은 흉터부터 매우 깊고 심한 흉터를 남기기도 합니다.
포진 후 흉터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치료 결과가 좋습니다.
대상포진의 치료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치료하며, 가능한 조기(발생 3일내)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를 복용하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진통제 종류를 선택하게 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