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4.26

일본의 사무라이는 언제부터 등장하여 사회 주력세력이 될 수 있었나요?

저는 일본의 사무라이라는 무사계급이 언제부터 존재했는지 잘 모르겠어요. 중국이나 우리 한반도에서도 무사계급이 따로 있지는 않았기에 일본 자체적으로 자생한 집단 같은데 언제부터 사무라이가 존재하기 시작해서 일본의 국정을 좌우하기까지 하는 주요 권력세력으로 자리매김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헤이안 시대 중엽에 지방의 치안이 악화하자 귀족과 호족 세력이 성장했습니다. 특히 명문 귀족인 후지와라 가문이 천황을 제치고 중앙 권력을 장악하게 되자 천황권 중심의 질서가 해이해지고, 율령제가 무너졌습니다.

    이에 지방의 장원을 지키기 위해 무장하고 무사가 되었습니다. 또한 수도에서도 조정의 무관이 왕실이나 귀족의 신변 경호나 저택의 경비를 맡으면서 실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들은 서로 연합하거나 항쟁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거대한 무사단으로 발전하였는데, 헤이안 시대 말기가 되면 권력의 향방을 결정짓는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무라이는 일본 봉건시대 무사를 뜻합니다. 본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의 단어 시에서 나온 말로써 귀인을 경호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 이후 무사계급이 발달하여 일반적인 무사를 가리키게 되었습니다. 에도시대에는 사농공상의 네 신분이 고정되어 그 가운데 사에 속하는 자를 일반적으로 이렇게 칭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