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3차접종자나 접종안맞은 확진 후 격리 해제자나 같은 항체를 가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코로나 백신을 3차까지 맞은 사람과 확진 된 후 다 치료되어 자가 격리를 해제한 사람과
만들어진 항체의 종류나 양은 거의 동일한가요??
-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1차만 맞았든 3차까지 다 맞았든,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맞지 않고 감염되어서 발생하였든 항체는 동일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 코로나 백신을 3차 부스터까지 맞은 접종자와 확진 된 후 자가 격리를 해제한 사람과 만들어진 항체의 종류나 양은 같지 않습니다. 코로나 백신은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자연적으로 생긴 항체와 백신 접종으로 만들어진 항체의 양은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 항체 생성은 위의 두가지 요소만 관여할 것 같진 않습니다. 접종자의 다른 요소도 관여할 것이기때문에 위의 두가지 조건으로만 구분짓긴 어려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 양의 경우는 개인마다 매우 달라 이야기하기는 어려우며, - 항체의 종류는 백신접종에 의해서는 스파이크단백질 1개 항원에 대해서만 항체가 생성됨에 반해, - 자연감염은 바이러스의 모든 단백질 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어, 더 많은 종류의 항체가 생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 코로나19에 감염되고 회복된 분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자연면역을 지니게 됩니다. - 자연면역이 백신 접종에 비해 면역력이 더 세고, 오래 지속됩니다. - 그런 의미에서 항체의 양이 더 많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 조건에 따라서 같은 항체가 생깁니다. -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같다면 말입니다. - 새로운 변이에 서로 노출되어서 완치 되었다면 둘은 항체가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 항체의 종류와 형성정도가 개인에 따라 매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단순히 3차 접종자와 감염자를 비교하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감염시 항체가 더 다양하게 형성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 그렇지 않습니다. - 감염으로 유도되는 항체의 종류와 양은 mRNA 백신으로 생성되는 항체와 그 구성이나 양이 상이합니다. -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 코로나 백신을 3차까지 맞은 사람과 확진 된 후 다 치료되어 자가 격리를 해제한 사람과 만들어진 항체의 종류나 양은 개인의 면역에 따라 다른 부분으로 예측은 어려우나 백신접종후 감염된 사람의 경우 항체가 많이 생성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 온전히 같은 항체라고 보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틀에 대한 항체는 동일하나 - 실제 코로나바이러스를 감염됐을 때의 항체와 완전히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 코로나 백신을 3차까지 맞은 사람과 확진 된 후 다 치료되어 자가 격리를 해제한 사람과 
 만들어진 항체의 종류나 양은 개인의 면역체계에 따라 다르기에 예측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 코로나 백신 3차 접종자나 확진자나 같은 항체를 가지게 되는지 문의 주셨습니다 - 애초에 백신과 확진자의 경우는 다른 항체를 가지게 됩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 최근 보고에 의하면 가벼운 코로나 증상만 앓고 지나갔을 경우 생각하던것 보다 항체 생성량이 적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 가벼운 코라나 감염 < 화이자 2차 < 중증의 코로나 감염 순으로 항체가 많이 만들어졌다는 보고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 1. 우선 항체의 생성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 2. 어떤 연구결과는 완치자의 항체가 더 많다 하고, 어떤 연구결과는 백신 접종자의 항체 수가 더 많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 3. 일반적으로 항체의 수는 접종 후 완치자>백신 접종하고 미감염자>미접종 완치자 순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본적인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만들어진 항체이기 때문에 종류는 비슷하지만, 양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항체 생성여부는 병원에서 항체형성검사를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만 보면 3차까지 맞은 사람보다는 2차까지 맞고 감염된 분에서 항체가 더 높게 형성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미접종 후 감염된 경우는 백신 접종보다는 항체 형성이 잘 안되구요. 생기는 항체는 같은 종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개인의 면역력과 기저질환 등에 따라 감염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감염 사례 또한 빈번하게 관찰되며, 완치 직후나 백신 접종 직후는 항체가 유지됩니다. 다만 항체의 종류와 양 또한 개인차가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 그렇지 않습니다. - 심지어 같은 접종을 하신 경우에도 개인에 따라 항체생성량은 차이가 납니다. - 항체의 종류 자체는 같지만 항체를 인식하는 부위는 백신과 변이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거나 확진된다면 항체가 생기지만 두 경우 모두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가 감소했습니다. 2차접종+확진의 경우 3차접종을 권고하지 않고 미접종+확진의 경우 기본접종을 권고하는 것을 보면 미접종확진의 경우 백신효과보다는 떨어질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 확진됬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갖게 됩니다. - 동일한 항체는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양 또한 다를 겁니다. - 따라서, 3차 백신을 접종 했든 기존 확진자 회복자이든 코로나를 조심하셔야하는건 동일합니다. - 변이가 어쩌다 발생하는 것이 아닌 지금도 스파이크 단백질의 염기서열(유전 형질을 구성하는 염기의 서열)을 바꿔가며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 바이러스의 구조학적 특성이 바뀌지 않는 하위 변이의 조합들은 셀 수도 없습니다. 유럽에서는 XE 외에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가 합쳐진 XD와 XF, 일명 ‘델타크론’도 번지기 시작했다. XE의 경우 치명률이나 중증도가 오미크론과 비슷하게 낮다지만, 강력한 전파 위력(상대를 압도할 만큼 강력함) 때문에 안심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