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니라주식은 상한가폭하고 하한가폭이 규정되어 있다고 하던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주식같은 경우에는 주식장에서 상한가 또는 하한가가 규정 안되어 있어서 무제한이라고 하는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상한가 또는 하한가가 규정되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이에 따라서
상한가와 하한가폭 등에 대한 제한 규정이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규모가 훨씬 작은 시장이기 때문에 상하한가가 없을 경우
변동성에 의해 투자자들의 피해규모가 훨씬 크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상하한가 제도가 존재하면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매우 간단 합니다.
미국의 경우 금융시스템이 선진화 되어 있어 자유로운 경쟁을 해도 충분히 규제가 가능하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 시스템이 후진화 되어 있어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하루 상/하한가의 제한을 두고 있는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 가격제한폭을 두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급격한 주가 변동으로 인한 투자자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제한폭이 도입되었습니다.
둘째, 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입니다. 가격제한폭이 없으면 주가가 일시적으로 폭등하거나 폭락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셋째, 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가격제한폭이 있으면 주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므로 시장의 유동성이 확보됩니다.
우리나라의 가격제한폭은 1995년에 도입되었으며, 초기에는 6%였으나 꾸준히 확대되어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전일 종가의 ±3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자 보호차원입니다. 처음에는 플마 15%였습니다. 근데 이게 너무 시장상황을 반영못한다해서 다시 늘린게 지금의 플마 30%입니다. 자본주의가 다른 데보다 아직 역사가 짧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증시에 상한, 하한가가 있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증시에는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있는데
이는 주식 투자자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미국과 달리 주식시장에 상한가 하한가가 있는데 이는 가장먼저 시장 안정성유지를 위해서입니다. 급격한 가격변동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더 큰 변동성을 불러옵니다. 또한 이러한 변동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을수도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투기세력들이 개입해서 가격 조작등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상한가 하한가를 +- 30프로로 정해둔 이유는 종목별로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할때 시장의 충격을 줄이기 위함이라고 생각하심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가 규정된 이유는 주식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시장 안정성 유지: 상한가와 하한가 규제를 통해 주가가 하루에 지나치게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투자자 보호: 갑작스러운 주가 변동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해 상한가와 하한가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도와줍니다.
과도한 투기 방지: 상한가와 하한가 규제는 시장에서의 과도한 투기 행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보다 건전하고 합리적인 투자 활동을 하도록 유도합니다.
시장의 공정성 제고: 상한가와 하한가 제도를 통해 주가 조작이나 시장 교란 행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증시와 다르게 투자자들의 안전한 거래를 명분으로 서킷브레이크, VI등의 장치와 함께 상한가 하한가가 정해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