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소중한벌267
소중한벌267

앞으로 금리전망에 대해 알고싶어요?

미국의 금리하락이 언제쯤 금리. 하락이 나올까요?

전쟁이끝나야지 그런가요 아니면 인플레이션일까요 아니면 중국에 대한 경제제재가 끝나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쟁보다는 아무래도 미국 내에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어야만이

      금리인상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의 목표는 미국 내 물가상승률 지수가 2%대입니다.

      위 수치를 도달할 때까지 강력한 금리인상 후, 동결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2023년 상반기까지는 인상할 가능성이 농후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경기가 안 좋아지거나 글로벌 악재가 발생하거나 물가가 안정된다고 판단되면 금리 상승이 멈추고 유지되거나 하락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를 낮춘다는 것은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 코로나 때처럼 돈을 풀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입니다. 내년말까지는 그 동안 풀었던 돈을 회수해서 물가를 안정시켜야하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 할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것으로 목표치에 도달될때까지 금리인상을 단행할것이라는 발언등으로 볼때 올해 말까지는 고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이고 내년도에도 인플레이션정도에 따라서 변동성은 있어보입니다 기준금리가 현 3.25프로인데 4.5프로까지 단기전망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9월 21일 미연준 FOMC 회의 때 경제 전망과 함께 발표한 19명의 연준의원들의 금리 예상을 나타낸 점도표를 참고하면 좋을 듯합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국 경제 경착륙 및 글로벌 고물가는 미국의 금리 인상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전쟁도 그렇고 중국 경제 경착륙도 단기간 해결 가능성이 낮고 미국의 고물가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3.25%이고 올해말까지 과반수 이상의 연준 의원들이 4.25% 이상의 금리를 예상하고 있고 내년의 경우 4.5% 이상의 금리를 다수가 예상하고 있습니다.

      즉, 앞으로 1% 이상 금리는 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의 억제현상에 기인한다고 보여집니다. 전쟁도 분명히 영향이 있겠습니다.

      어쨋든 여러가지 지표가 긍정적으로 돌아서야 할텐데,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느정도의 금리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