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뽀로로
뽀로로23.06.12

암수로 나눠져 있지 않은 동물이 있나요?

대부분의 동물, 곤충들은 암수가 나눠져있는데 암수로 구별되지 않는 동물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어떻게 번식을 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종은 바로 자웅동체인 종인데요.

    대표적인 종으로는 지렁이와 달팽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웅동체인 종들은 남성 생식기와 여성 생식기가 모두 존재하여 본인 스스로 번식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몇 가지 동물 종은 암수로 나뉘어지지 않고, 단일 성별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종을 단성별동물(Hermaphroditic animals)이라고 합니다. 단성별동물은 동시에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어 자가수정(self-fertilization)이 가능하며, 번식할 때 상대 개체와의 교배 없이도 자체적으로 새로운 개체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암수가 없는 동물을 자웅동체 라고 하는데요

    자웅동체는 일반적으로 무척추동물에게서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에라토스테네스의 개구리: 일부 개구리 종은 성별로 나뉘어지지 않으며, 모든 개체가 양성이 될 수 있습니다. 개체들은 서로를 찾아가서 발견되는 개체에 정액을 주입하여 번식을 합니다.

    2. 분열 번식: 일부 단세포 동물이나 체세포 동물은 성별로 나뉘어지지 않고, 분열을 통해 번식합니다. 개체가 자체적으로 셀 분열을 하여 자손을 생성합니다.

    3. 에페스: 일부 곤충 중 일부 개체는 성별로 구별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개체들은 일련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번식을 합니다. 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개체들은 번식을 위해 특별한 행동을 수행하며, 다른 개체들과 협력하여 번식을 이룹니다.

    위 동물들은 성별로 구별되지 않거나 특이한 번식 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동물들과는 다른 번식 전략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암수로 나눠져 있지 않은 동물도 있습니다.

    보통 이런 동물들은 자웅동체로 양성생식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개체와 상관없이 교배가 가능합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자웅동체 동물로 달팽이와 지렁이, 민달팽이 그리고 일부 어류와 양서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웅동체로 존재하는 종(species)은 동물 중에서는 약 5% 정도인 65,000 종 정도로 추정된다. 무척추동물의 예로는 멍게류(tunicate), 달팽이, 지렁이 등을 들 수 있다. 일부 물고기와 같은 척추동물도 자웅동체로 존재하기는 하지만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한다.


    좁은 의미의 자웅동체는 주로 동시성 자웅동체(simultaneous hermaphrodite)를 의미하며, 달팽이 혹은 민달팽이가 아마 가장 잘 알려진 예일 것이다. 달팽이의 경우 두 개체가 짝짓기를 수행하여 정포(spermatophore)를 상대방 생식기관에 주입하고, 향후 수정란을 낳게 된다. 지렁이 또한 자웅동체의 대표적인 예인데, 난소(ovary)와 정소(testis)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에도 자가 수정을 막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짝짓기 없이 번식할 수 없다. 따뜻한 계절의 습기가 많은 밤에 교배하여 정자(sperm)와 난자(egg)를 교환함으로써 번식이 가능하다. 유전학(genetics)의 대표적인 모델 동물(model animal)로 사용되는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경우는 자웅동체끼리의 짝짓기는 수행하지 않고 자기 자신의 자가 수정을 통해 주로 번식을 한다. 대신 아주 드물게 1% 미만으로 발생하는 수컷이 존재하고, 수컷과 자웅동체 간에는 짝짓기를 통한 번식이 가능하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지렁이입니다. 암수가 같이 있고 이것또한 변화도 생기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