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현상이 한국 수출기업에 미치는 타격은?
일본 엔화 약세가 길어지면 한국 수출기업의가격경쟁력이 약해진다고 합니다. 실제 어떤 산업이 가장 직접적 피해를 볼수 있을까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엔저 현상이 한국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 일본은 낮은 금액으로
수출할 수 있기에 한국 수출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 엔화 약세가 길어지면 일본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국제 시장에서 한국 제품과의 경쟁이 심화되며, 이에 따라 수출 경쟁력이 직접 타격을 받는 산업들이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엔화 약세는 일본 제품의 해외 판매가격을 자동으로 낮춰주는 효과를 만들게 되고 이는 특히 일본과 직접 경쟁하는 산업에서 가격경쟁력 약화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습니다. 현대차, 기아차는 토요타, 혼다, 닛산과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정면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엔저로 인해 일본차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면, 한국차는 동일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마진을 포기하고 가격을 낮추거나 마케팅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MLCC산업도 한국과 일본기업이 재편하고 있는데 이또한 직접적인 경쟁으로서 MLCC산업도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며 이외에도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 판재류에서 포스코와 일본제철, JFE 간의 경쟁이 치열한 구조이며 동남아시아 등 주요 수출시장에서 일본산 철강재의 달러 기준 가격이 낮아지면, 한국산 제품의 수출 가격 스프레드가 압박을 받게 됩니다. 기계 및 건설기계 산업에서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것으로 보이며 두산밥캣,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이 코마츠, 히타치 등 일본 업체들과 경쟁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프로젝트 입찰이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에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됩니다.
즉 한국과 일본은 글로벌시장에서 직접적인 경쟁이 많기 때문에 주요 산업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저가 지속되면 일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한국 수출기업이 타격을 받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 기계 등 경쟁산업에서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는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과 수출 다변화 전략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저가 길어지게 되면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에서 경쟁할 때 손실을 보게 됩니다
또한 우리나라 내부에서도 철강을 직접 소비하는 것 보다 일본에서 수입하는 것이
저렴해지면서 우리나라 철강 산업이 버티지 못하게 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저 현상은 우리나라 수출 산업과 내수 시장에 모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저현상이면 한국의 수출기업에서 환헷지 등을 통해서 일정부분 손실을 만회할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수출기업은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수입기업의 경우 엔저현상으로 인해 그만큼의 수익이 발생한다고 볼수 있습미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저현상을 보인다면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와 자동차 산업 등에서 포지션이 겹치기에
우리나라의 현기차 등이 일본의 자동차 기업들에 비하여
불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엔저면 일본과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자동차 산업 같은게 타격이 있긴 할거 같습니다
그런데 사실 근래 계속 엔저 모드라 실제 타격은 안 클거라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