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보내기에 적합한 시점은 언제일까요?
육아휴직이라는 제도가 직장에 있지만 직장의 여건상 충분하게 제도 활용을 하는 사람, 못하는 사람 다 제각각인데요.
저도 직장때문에 0세반부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냈었지만 둘째 생각도 있기때문에 과연 아이들은 언제부터 어린이집에 보내는게 아이에게 가장 적절한것인지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분리 불안이 있거나 언어 발달이 부족한 아이들은 시기를 고려하시고
어린이 집에 대한 준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에는 아이들 어린이집을 보내는 시기가 점점 더 빨라 지고 있다고 합니다. 법적으로 보낼 수 있는 시기가 오면 아이들을 보내는 추세입니다. 이는 부모님께서 보통은 맞벌이를 하는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불안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린이집에서 배우는게 아주 많다고 합니다. 사회생활을 배우기도 하고 치우는 습관을 가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와 부모님의 성향을 잘 고민하셔서 진행해주시는게 좋을것으로 보이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말귀를 알아듣고 의사소통이 이루어질수 있는 3세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요즘 맞벌이 부부들이 많기 때문에 아이의 발달 상태나 가족의 상황에 따라 어린이집을 보내는 적절한 시기는 다를수 있다고 봅니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때는 충분히 고민해보고 상황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와 부닐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지, 즉 분리불안이 적은지 살펴봅니다. 그리고 또래와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를 보이기 시작하면 어린이집에 적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린이집 보내기에 적합한 시점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만 2세에서 3세 사이가 적절한 시기로 여겨집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보육 시설에 보내기 좋은 시기에는 개인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 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회성 등이 어느 정도 발달해야 보육시설에서의 생활이 수월해집니다.
부모의 경제활동 재개 여부와 시기를 고려하여 보육시설 입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하는 보육시설의 수용 가능 인원과 대기 순위를 확인하여 입소 가능한 시기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보육시설에 보내는 시기를 결정할 때는 위의 요소들 외에도 가족 구성원의 상황, 지역사회의 인프라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보육시설에 보내는 것이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하며, 만약 보내게 된다면 충분한 적응 기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봅니다~ :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린이 집을 보내는 시기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2세에서 3세 사이가 좋다고 합니다. 다만 부모의 직장 상황, 육아휴직 여부, 가정의 경제적 여건 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아이의 성격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보육,교육 문제가 가장 고민되고 결정하기 힘든 일이기도 합니다.
어린이집에 갈 무렵 아이들의 여러가지 발달 요소들을 고려해보았을때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30개월~36개월 정도가 어린이집 보내는 시기로 가장 적당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만 3세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부모님과 아이사이에 안정적인 정서가 먼저 형성되고 안정되어야 적응이 훨씬 수월해지고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게 됩니다. 또한 그것을 통해서 엄마,아빠와 잠시 헤어져도 다시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갖게 되며 신뢰감도 형성됩니다. 그래서 만 3세 이후를 어린이집 입소 시기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아기의 기질 신체와 정서 발달, 부부 맞벌이, 독박 육아로 부모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아이마다 가정마다 어린이집 보내는 시기는 다를 수 있답니다. 맞벌이 부부시라면 대부분이 더 일찍 보내시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