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9.11

올림픽을 4년마다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올림픽이 매 4년마다 열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이렇게 4년마다 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어떤 이유 때문에 4년마다 열리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올림픽이 4년마다 개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8년 주기로 만난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런 이유로 그 당시 그리스에서는 8이란 숫자를 완전무결한 숫자로 여겼습니다. 또한 당시 그리스 공용 달력은 태양력과 태음력 두 종류를 썼는데 8년 주기로 두 달력을 사용하는 데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에서 완전무결한 숫자로 여긴 8년을 주기로 올림픽을 개최했습니다. 기원전 776년 이전의 올림픽은 8년 주기로 열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8년을 하다 보니 시간이 너무 길어 문제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피테스'라는 사람이 태양력과 태음력의 주기를 억지로

    4년에 맞추어 주장하면서 4년으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8년 주기로 만난다고 8은 당시 그리스에서 완전무결한 수로 여겼습니다.

    또 당시 그리스 공용 달력은 태양력과 태음력 두 종류를 썼는데 8년 주기로 두 달력을 사용하는데에 문제점이 해결되어 이런 이유로 올림픽은 8년주기로 열렸습니다.

    그런데 8년 주기로 하다보니 기간이 길어 문제가 되며 이피테스는 사람이 태량력과 태음력의 주기를 억지로 4년에 맞춰 주장하며 4년으로 정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양력으로 1년을 365일로 나누어 계산을 하면 실질적으로는 약 365.25일이라서 4년에 한 번씩 1년이 366일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366일이 되는 해마다 제천행사, 즉 올림픽을 개최하였다.



    고대 잉카문명에서도 1년이 366일이 되는 해에 대규모 제천행사를 하였다.



    고대에는 1년이 366일이 되는 날에


    하늘에서 신이 내려와


    인간세상을 본다고 믿었다.


    고대인들은 신이 내려왔을 때 그 신을 하늘로 올려 보내지 않고 인간 여성의 몸에 집어 넣어 반신반인으로 잉태시킨 후 인간 세상의 지도자로 삼고자 했다.



    이에, 다음 신의 강림 일자를 태양의 주기로 추측하여 제천행사를 열어 가장 우수한 남성을 선별하여 신녀(샤먼)의 임신 주기에 맞춰 합궁을 하는 천손 사상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