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하이hi
하이hi

주식시장 대체거래소 생긴후 거래시간

안녕하세요

주식시장에 대체거래소 생긴후 애프터마켓 등 새로운 거래시간이 생겻잖아요.

왜 시가,종가를 프리마켓 전,애프터마켓 후로 하면 안되는거예요?

안그래도 복잡한세상 왜 더 복잡하게 살려고하는거예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 시가 ' 는 정규장 개장 직후 처음 체결된 가격이며 , ' 종가 ' 는 정규장 마감 직전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입니다.

    이는 투자자 , 기업 , 금융기관이 주가를 공정하고 일관되게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됩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대체거래소 (ATS) 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프리마켓 (개장 전 거래) , 애프터 마켓 (장 종료 후 거래) 이 확대되면서 , 일부 투자자들은 왜 시가와 종가를 이 시간대로 확장하지 않는지 의문을 갖게 됩니다.

    첫째 ,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거래량이 적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대표 가격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유동성이 부족한 시간대에는 극단적인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고 , 소수의 거래만으로도 가격이 왜곡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시가나 종가로서의 신뢰도를 떨어뜨립니다.

    둘째 , 표준화된 거래시간의 유지가 필요합니다.

    정규장 내 거래는 규제와 감시가 집중되어 있고 , 모든 시장 참여자에게 공평하게 열려 있습니다.

    반면 ,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일부 투자자 (예 : 기관 , 특정 브로커 이용자) 만 접근 가능한 경우가 많아 정보 비대칭 문제가 존재합니다.

    이런 불균형한 시간대의 가격을 시가나 종가로 삼는 것은 시장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셋째 , 금융 지표와 파생상품가격은 시가와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ETF 가격 , 옵션 결제 , 펀드 기준가 등이 정해지는데 , 변동성이 큰 시간대를 반영하면 전반적인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 시가와 종가는 시장 참여자 간 신뢰와 일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정규장 기준으로 유지됩니다.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보완적 역할로 기능할 뿐 , 공식 기준가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시장의 질서와 투명성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 선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시장의 시가, 종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가 종가는 정규장 거래에서 발생된 것에서만 한하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 종가는 시작가 종료가격을 말하며 이는 정규장시간 시작 종료가격을 말합니다

    그리고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투자자들이 미국시장 거래를 하며 국내거래소도 니즈가 생기면서 요구가 증가하게 된게 원인입니다

    이로 인해서 해외투자로 점진적으로 익숙해지면서 정규장 전 후 거래인 프리마켓 애프터마켓으로 놔눈것이지 시가 종가와는 다른 개념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와 종가는 공식 장중 거래의 기준으로 시장의 공정성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프리·애프터마켓은 제한된 유동성과 정보 비대칭 문제로 기준점으로 삼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와 종가를 '프리마켓 전과 에프터마켓 후'로 표기한다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지금 상황이 기존에서 크게 바뀌진 않았으나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그렇지 않은 분들도 계시는데요. 말씀해주신 방법이 보다 이해하기 쉬운 방안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