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말벌 유충들은 애벌레에 기생한다는게 사실인가요?

애벌레가 살아서 나비가 되는게 어려운일이라는데 그 이유가 말벌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서요 정말인가요????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벌 유충은 애벌레에 기생합니다. 많은 종류의 말벌은 애벌레를 먹이로 사용하는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기생성 방식으로 번식하며, 이 과정에서 곤충의 애벌레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곤충의 몸속에 알을 낳고, 이 알들은 곤충 내부에서 부화하여 우충이 되고, 이 유충들은 숙주인 애벌레의 내부에서 자라면서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이 과정에서 숙주인 애벌레는 대부분 생존하지 못하며, 말벌 유충의 성장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부 말벌(특히 기생성 말벌)의 유충은 다른 곤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는 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며, 다양한 말벌 종들이 이러한 기생 생활을 합니다. 또한 말벌은 기생하는 숙주의 몸 안이나 그 위에 알을 낳기 때문에 '기생'이라고 부르며, 기생하는 말벌 유충은 숙주 곤충의 몸속에서 성장하여 결국 곤충을 죽이기 때문에 애벌레가 나비나 나방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모든 말벌이 애벌레에 기생을 하는 것은 아니고

    기생을 하는 기생말벌 종들이 있습니다.

    우리 가 잘 아는 말벌과 장수말벌 등 애벌레를 사냥하여 잡아먹고 유충에게 고기경단을 만들어서 먹여 키웁니다.

    여러 기생말벌의 경우 다양한 벌레에 알을 낳아서 유충이 해당 벌레에 기생하게 합니다.

    기생대상은 나비 뿐 아니라 여러 곤충과 애벌레 거미 등이 해당됩니다.

    농사에 피해를 주는 여러 벌레와 바퀴벌레 등에 기생하기 때문에 농업에 도움이 됩니다.

    해당 숙주의 몸 안이나 겉에 알을 낳으며 유충이 태어나면 해당 숙주를 먹으면서 성장하고 성체가 됩니다.

    일부 기생말벌의 경우 숙주에게 알을 낳으면 숙주가 말벌 애벌레를 오히려 보호하는 등 이상행동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 그렇지 않습니다. 말벌 유충이 애벌레에 기생하는 경우는 일부 종이며, 모든 말벌 유충이 기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말벌 유충은 육식성이며, 사냥이나 먹이를 제공받아 성장합니다. 하지만, 일부 말벌 종들은 말씀처럼 기생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어리상수리혹벌 기생 말벌은 미국 남부에 서식하며, 어리상수리혹벌의 유충에 기생하여 성장합니다.

    한국에 서식하는 장수말벌의 경우 말벌의 유충에 기생하여 성장합니다. 기생된 말벌은 생식 능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꽃등은 생활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애벌레 시절에 말벌집에 얹혀서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벌 유충을 잡아먹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따라서, 모든 말벌 유충이 애벌레에 기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종들은 기생 방식으로 번식하기는 합니다.

  • 말벌 유충이 다른 곤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말벌 여왕은 다른 곤충의 애벌레를 잡아서 자신의 유충에게 먹이로 제공합니다. 이는 말벌 유충이 다른 곤충의 육체를 얻어 빨리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말벌 때문에 나비나 나방 등의 애벌레가 살아남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러한 포식자-먹이 관계로 인해 애벌레가 성충으로 자라나기까지의 과정이 힘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