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우리나라의 크악새는 이제 멸종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인가요? 공식적 멸종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크악새는 우리나라에만 서식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관찰된 것은 1990년대가 마지막이었다고 합니다

이미 30년을 훌쩍 넘어간 시간인데

공식적으로 멸종이라고 발표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크낙새는 오랫동안 관찰되지 않아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공식적인 멸종 선언을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해당 종의 개체가 자연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반복적인 조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국제적으로는 IUCN(국제 자연 보전 연맹)의 기준에 따라 최소 50년 동안 생존 개체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멸종으로 분류되며, 국가별로도 이를 참고해 공식적인 멸종 여부를 발표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연보전연맹이라는 국제기구에의해 결정되는데 합리적으로 인정할만한 시간동안 발견보고가 되지않으면 멸종처리됩니다.

    보통 50년을기준으로 더이상 개체가 발견되지않으면 멸종으로 간주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크악새와 같은 종의 멸종 여부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위해서는 최종 관찰 기록, 서식지 상태, 생존 가능성 조사, 전문가 의견, 국제 기준 준수 및 공식 발표 과정이 모두 충족ㄱ되어야 하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멸종 여부가 판단된다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공식적으로 멸종을 선언하기위한 기간의 기준은 약 50년정도로 보고있습니다.

    전세계에서 특정종이 약 50년이 지나도록 또다른 개체를 발견하지못하면 멸종이되었다고 선언합니다.

    주로 세계보전기구등에 이러한 내용을 보고하여 인정받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크낙새는 현재 멸종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경기도 포천시 광릉숲 국립수목원에서 1993년 한 쌍이 목격된 게 마지막으로 관찰 기록입니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당연히 공식적으로 멸종을 선언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특정 기간 동안 관찰되지 않는 경우 멸종으로 추정합니다. 그리고 이 기간은 종의 생태적 특성, 서식지, 그리고 과거 관찰 기록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게 됩니다.

    또한 종이 살던 한정적 서식지가 완전히 파괴되거나 크게 변화하여 더 이상 개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었을 때 멸종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