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인플레이션은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는 없는건가요?

인플레이션은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는 없는건가요?

화폐가치가 떨어질수록 인플레이션은 상승하게 되잖아요?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에도 나올 수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항상 플러스만 간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그렇진 않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을 디플레이션이라고 구분해서 부른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일본이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으면서 물가가 꾸준히 내려간 적이 있죠. 업계에서는 이런 상황이 경제에 더 위험하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왜냐면 물가가 떨어질 거라 예상하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니까요. 제 생각에는 지금처럼 경기 침체 압력이 커질 때는 디플레이션 우려도 같이 살펴보는 게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은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과잉이나 통화긴축정책이 지속되는 경우에도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있지만 그러한 경우는 해당 국가가 이미 경제가 뒤로 가는 케이스 입니다.

    • 일본의 경우가 그러했으며 디플레이션은 단순히 물가가 하락하며 긍정적인 영향만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물가가 하락하면서 기존보다 경제 가치가 하락하며

      못사는 국가가 되는 것과 같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마이너스가 되면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일본이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으면서 물가가 계속 하락했습니다. 이는 소비 위축과 경기침체를 불러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하락하는게 디플레이션이며 과거의 대공화때가 대표적인 디플레이션 현상입니다 재화에 대한 수요는 없고 공급량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다보니 넘쳐난 재화로 인하여 물가가 하락하고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기술의 발전으로 비용이 감소하게 될수록 디플레이션이 증가하게되며 2008년 통화량이 그렇게 많이 증가했음에도 중국이 전세계로 디플레이션 즉 공급을 대규모로 싸게 해주면서 물가가 제한적으로 상승했던것입니다 그리고 일본도 장기적인 디플레이션 효과를 90년부터 최근까지 경험하고 있고 지금 중국도 부동산 위기로 수요는 제한적인데 그동안 늘어난 기업들과 공급량 확대로 엄청난 디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AI가 발달될수록 자동화와 인력이 줄어들면서 인건비가 크게 감소되는데 이는 결국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으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즉 수요측면과 공급측면인데 공급측면에서 기술발전은 비용을 낮추어서 디플레이션효과를 갖게될 수 있고 또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 디플레이션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는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우리의 경제에는 인플레이션만 있지는 않습니다.

    소위 말해서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가 된다말은 인플레이션이 없다 라는 정상적인 상황으로 인식합니다. 짜라서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라로 표현을 하지 않는 편입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은 보다 안정된 상황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 자체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은 물가 하락이 돼야하고 경제 후퇴를 말하는 것인데 이럴 때는 인플레이션이 아닌 디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마이너스가 되는 건 디플레이션입니다. 물가가 전반적으로 계속 떨어지는 현상으로 경기가 나빠서 사람들이 지갑을 닫고 소비를 줄이면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게 되고, 그러다 보면 물가가 더 내려갈 거라는 기대 때문에 소비를 더 미루는 악순환이 생기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