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발치(잇몸염증)후 임플란트 언제까지 해야하나요?
현재 베트남에 장기파견 근무중입니다. (중간에 한국 들어갈 상황은 아니고요.ㅠㅠ)
근래 좌측 가장 안쪽 위 어금니쪽이 아파서 현지 치과에 가니 잇몸안에 염증이 있다고 합니다.
현지의 의사 의견은..
1) 엑스레이상 가장 안쪽 어금니쪽 잇몸에 염증이 보인다.
2) 큰 통증이 없다면, 염증이 급성으로 번지지는 않을 것 같으니, 1년뒤 한국돌아가면 그때 치료(발치+임플란트)를 해도 될 것 같다.
3) 현지에서도 발치와 임플란트까지 다 해줄 수 있지만, 임플란트 사후서비스는 한국 돌아갈 경우 안될 수 있으니, 발치까지는 해줄 수 있다.
….라는 의견을 듣고 귀가하였습니다.
허나 며칠전부터는 통증이 괜찮다가 안괜찮다가 오락가락 합니다.
1) 치아를 깨물면 한번씩 잇몸이 욱씬(?)하거나, 뻐근(?)한 통증이 오네요. 발치하면 개운할 것 같은 느낌입니다.
2) 치아도 다른 치아에 비해 좀 흔들리고요.
3) 워터픽으로 이쪽을 향해 쏘면 좀 큼큼한 냄새도 납니다..
서두에 말씀드렸다시피, 현재 치과치료를 위해 한국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한 방법은…
1) 현지에서 해당 치아 발치 및 염증치료까지만 진행
2) 1년~1년5개월뒤 한국복귀후 발치한 자리 임플란트치료 시작
(*현지에도 임플란트 잘한다고는 하지만, 현지에서 임플란트후 한국복귀시 임플란트 사후서비스가 어려움)
아래의 사진 참조하시고, 고견 부탁드립니다..^^
<참조사진>
1. 빨간네모 - 좌측 위 문제의 어금니 (*현지 치과에서 찍은 엑스레이사진)
2. 바깥쪽 잇몸은 크게 내려앉지 않았음.
3. 안쪽 잇몸은 10여년전 했던 크라운보다 많이 내려옴. (*현지 의사의 의견은 치아가 검게 된 것은 현재의 통증과 크게 관련은 없다고 하였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일지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1년~1년5개월뒤 한국복귀후 발치한 자리 임플란트치료 시작하셔도 되지만 옴니백등은 하는 게 좋습니다.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1) 현지에서 해당 치아 발치 및 염증치료까지만 진행
-발치를 하셧다면 오래 지나셔도 임플란트 하는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2) 1년~1년5개월뒤 한국복귀후 발치한 자리 임플란트치료 시작
-1년뒤에 하셔도 문제가 되진 않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사진으로 봤을 경우에는 치아를 감싸는 치조골에 염증이 생긴것으로 보입니다. 냄새가 나거나 불편감이 있다면 이미 해당부위에 치주질환이 심해진것일수 있습니다.
발치후에 치조골이 좋지 않다면 치조골이 아무는 시간을 기다려서 임플란트를 해야 할수 있습니다.
발치를 하고 나서는 6개월 이내에 상실된 치아를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