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생물은 무엇을 먹고 살아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세상의 동물과 식물은 모두 먹고 먹히는 관계로 얽혀 있잖아요~ 바다도 마찬가지 인데요~ 바다생물의 먹이사슬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바다에도 식물성플랑크톤이나 해조류가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을 합성합니다.
이것을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나 새우같은 작은 동물들이 먹게됩니다.
또 플랑크톤들을 물고기나 새우 게 등이 먹을 수 있습니다.
작은 물고기와 작은 생물들은 큰 물고기나 고래같은 해양 포유류에게 먹히며
큰 물고기는 상어나 범고래 같은 더 상위 포식자에게 잡아먹힙니다.
죽은 사체나 그 찌꺼기는 다시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에게 먹히며 순환됩니다.
해양의 생태계도 육지의 생태계처럼 복잡한 먹이사슬을 이루고 있습니다.
바다도 육지처럼 먹고 먹히는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간단하게 햇빛을 받아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식물플랑크톤에서부터 거대한 고래까지, 다양한 생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바다의 기초 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입니다. 햇빛을 이용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고, 이는 바다 생태계의 기초가 됩니다.
1차 소비자는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으로 작은 크기지만, 바다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차 소비자는 동물플랑크톤을 먹이로 삼는 작은 물고기, 새우 등입니다.
3차 소비자는작은 물고기나 새우를 먹는 더 큰 물고기, 그리고 고래, 돌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가 여기에 속합니다.
그 위 최상위 포식자로는 상어나 오징어 등이 있습니다.
바다 생태계의 특징이라면 복잡한 먹이 그물을 들 수 있습니다. 바다 생태계는 사실 육지보다 먹이 관계가 훨씬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한 생물이 여러 종류의 먹이를 먹고, 또한 여러 종류의 포식자에게 먹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먹이사슬의 순환이 발생합니다. 죽은 생물은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고, 다시 식물플랑크톤의 양분이 되어 먹이사슬이 순환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해양생태계의 먹이망은 식물성플랑크톤 -> 동물성플랑크톤 -> 소형어류 -> 중형어류 -> 대형포유류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피라미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생산자인 플랑크톤의 경우 바다에 부유하는 생물을 말하며,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바다의 생물들에게 필요한 먹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플랑크톤보다 상위에 위치한 소형어류로는 멸치가 있으며, 소형어류를 잡아먹고 사는 중형어류로는 고등어, 정어리 등이 있으며, 최상위 포식자로는 상어와 고래가 있습니다.
바다생물의 먹이사슬은 플랑크톤에서 시작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을 동물성 플랑크톤이 먹고, 이를 작은 물고기와 무척추동물이 섭취합니다. 작은 물고기는 큰 물고기나 포식성 해양동물의 먹이가 되며, 최상위 포식자에는 상어, 고래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