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알티스
알티스

앞으로 금리인하도 있을텐데요. 디딤돌, 버팀돌 대출금리는 왜 올리는거죠?

정부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주택 구입 자금을 저리로 빌려주는 디딤돌이나 버팀돌 대출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린다고 합니다. 전세계는 현재 금리인하를 앞두고 있는데, 왜 우리나라 대출금리는 반대로 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주택으로 인한 가계대출의 총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정책자금 외에도 주담대 금리를 올리기도 합니다

    • 따라서 금리인하 기조와 반대로 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디딤돌대출이나 버팀목전세자금 대출과 같은 경우에는 최근까지도 상당한 저금리로 유지하는 등 이에 따라서

    금리를 올리려고 하는 것으로 보이며 시장금리에 따라서 금리 또한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 매수 수요가 늘고 가계 대출이 증가한 주요 이유로 정책 대출이 꼽혔기 때문입니다.

    디딤돌 대출의 상반기 집행 실적은 15조원으로, 작년 상반기의 2배에 육박하며, 정책 대출 금리가 시중금리보다 과도하게 낮아 주택 시장과 가계 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에 금리를 조정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시장의 부동산 경기가 하락할 때에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디딤돌 대출의 금리를 낮게 책정했던 이유는 가계의 실질적인 주택 수요를 늘려 악화되는 부동산 경기을 안정화 시키기 위함이었습니다. 즉 정책금리 인하를 통해 가계의 주택수요를 끌어올리려는 이유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적으로 금리인하의 시기에 와 있고 실제적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9월부터 금리 인하를 시작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기준금리를 인하에 동참할 것입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금리 인하로 주택의 구매 수요 늘어나면서 가계의 부채가 다시 늘어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 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자 본격적으로 대출 증가를 관리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근 금리가 낮은 정책 대출로 수요가 몰려 가계 대출이 급증한 원인으로 지목되자 정부가 대출 증가를 관리하기 위해서 정책 대출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부에서는 최근 수도권중심으로 부동산가격이 급등하는것에 큰 걱정을 하고있습니다

    곧 금리를 인하할 예정이지만 주택담보 대출에 대해서 부동산가격 인상을 유발하지않는 방향으로 정부대출을 방향설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 금리 인하가 예상되더라도 디딤돌, 버팀돌 대출금리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시장금리와의 연동: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오르면 이러한 정부 지원 대출 상품의 금리도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재정 정책: 정부가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올려야 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경제 안정성: 금리 인상은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습니다.

    정부의 역할 축소: 정부는 공공 대출 프로그램을 점차 줄이려는 정책적 목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출금리를 올려 수요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