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2.08.31

비행기를 타면 귀가 아프고 먹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행기 탈때마다 느끼는 건데

귀가 너무 아픕니다.

그 이상 높이 올라가게 되면 통증은 더 심해질까요?

밀도 때문에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높이 날아오르면 그 곳은 지상보다는 기압이 낮습니다. 그래서 비행기의 기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륙하면서 비행기 안의 공기압을 낮추게 됩니다. 반대로 비행기가 착륙할 때는 낮췄던 공기압을 지상기압에 맞춰서 높이게 되지요. 비행기가 뜨거나 내릴 때 비행기 안의 공기압 변화에 맞춰서 ‘이관’이 ‘중이강’에 신선한 공기를 잘 공급하지 못하면 압력차이로 인해서 고막이 팽팽해지고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빠르게 오르내리는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나 높은 산에 올랐을 때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유스타키오관은 귀에 들어오는 기압을 조절해줍니다.
    그런데 귀가 먹먹해진다는 것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비행기의 고도에 의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평상시 평평한 고막이 기압이 강한 쪽으로 밀려서 먹먹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귀가 아픈 이유는 주위 공기의 압력차이 때문입니다.

    몸내부의 압력보다 비행기 고도가 올라가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차이가 발생하여서 귀가 아픈 것입니다.

    그래서 침을 삼키는 행위를 통해 압력을 주위와 비슷하게 맞춰주면 아픔이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알고 계신 것처럼 기압차이 때문에 귀 통증이 발생합니다. 고도가 높아진 만큼 기압은 낮아지는데 비행기는 낮아진 기압을 대비하기 위해 기내의 공기압을 낮추게 됩니다.

    고막을 중심으로 양쪽의 압력차가 커지면서 고막이 잠시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사람마다 고막 통증을 느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아프시다면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 올라가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희박해져 공기 압력이 감소합니다. 이 때 체내의 압력과 외부 환경의 압력을 맞춰주기 위해 귀가 먹먹해지는것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로 귀가 아프시다면 병원을 찾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의 경우 귀가 아프진 않거든요.

    추가로 조금 더 설명드리면, 귀의 역할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소리를 감지하는 역할,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소리는 고막과 달팽이관을 거쳐 울리고 소리를 확성하여 우리가 받아들입니다. 평형은 반고리관을 통해 우리가 중심을 잡고 쓰러지지 않게 유지할 수 있죠. 압력은 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진다는 느낌을 받으셨을 겁니다. 이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는 아니고, 기압의 영향입니다. 지면으로부터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집니다. 그래서 우리 몸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이 일정해야 하는 항상성을 갖고 있어 기압을 맞추기 위해 귀가 멍멍한 현상이 발생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