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04

비행기 타면 귀가 먹먹하고 안들리는데 고도가 얼마 이상 되면 그러한 증상이 생기나요?

비행기 탈때마다 그러한 증상들이 생겨서 불편했던 기억들이 있습니다.

고도가 높아져서 머리도 아프고 귀도 멍해지는데

얼마 이상 올라가면 그러한 증상들이 생기는 건가요?

더 높이 오르면 위험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이륙 시, 하늘 위로 올라갈 수로 기압은 점점 낮아집니다. 이때, 고막 안쪽의 압력은 지상의 대기압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고막이 귀 바깥 쪽으로 부풀어 오르고, 반대로 착륙 시에는 고막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먹먹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를 탔을 때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은 누구나 겪게 됩니다. 하지만 개인차에 따라서 그 정도가 심해서 고통을 크게 느끼는 사람은 비행기를 타지 못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비행기 높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비행기가 고도를 갑자기 높히거나 낮출 때 발생하는 기압차때문에 귀 속의 이관이란 기관이 영향을 받아 통증을 느낍니다. 그래서 특정 고도이상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갑자기 고도가 높아지거나 갑자기 낮아지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그리고 비행기를 타지 않더라도 고층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도 느끼곤 합니다. 귀속의 이관이 안과 밖의 압력차이를 조절하는 기관이라 천천히 움직이면 문제가 없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갑자기 움직이면 귀마 먹먹해 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