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뷰포인플레이터9731
뷰포인플레이터973123.09.06

우리나라 통화량 증감에 따라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

경제활동을 하는데 있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게 통화량이죠. 통화량은 크게 M0, M1, M2, M3등으로 나눠진다고 하던데요. 혹시 이러한 국가의 통화량들의 변화에 따라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상관관계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통화폐의 증가에 따라서 소비자들의 소비지출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게되요. 그럼 소비지출의 증가에 따라서 기업들의 판매실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곧 주식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요

    반대로 통화량이 위축되는 경우에는 소비지출이 감소하게 되고 기업들의 판매실적이 저조해지면서 증시 또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혹은 상승세가 꺽이는 모습을 보이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량과 주식시장은 상관관계입니다. 시중에 통화가 많아지면 유동성이 풍부해 주식투자가 늘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 유동성의 증가는 주택시장뿐만 아니라 주식시장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저금리로 인한 풍부한 유동자금이 주식시장에도 일부 유입되었습니다. 주식시장의 자금 유입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M2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율은 ’20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1.6월에 고점(67.6%)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하락 추세로 전환되어 ’22.3월 기준 M2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율이 59.0%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통화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감소함에 따라 일부 유동성 자금이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같이 유동성(통화량)의 변화는 자산시장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 시장의 유동성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부의 통화정책에 따라 이자율 인상으로 이어집니다. 이자율 인상은 기업의 이자비용증가로 인해 주식시장(기업)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되고 투자자들은 주식보다는 이자율을 많이 주는 채권, 예금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반대로 통화량의 감소는 경기 침체의 조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통화량이 감소했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투자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결국 기업의 수익성을 저하시키고 주식 가격을 하락시켜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더욱이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어렵게 만들고 주식시장에서 외국 투자자가 감소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통화량이 증가한다면 이에 따라서 주식시장과 같은 경우

    자금유입이 많이 될 가능성이 커 상승할 여지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량의 증가는 결국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 증가가 예상되기 떄문에 경국 통화량 증가는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 시중에 유동성이 증가했다는 뜻이며, 이는 자산시장으류 투자자금으로 흘러들러 올 자금 유입 또한 상승한다고 전망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우선 돈의 공급이 많아지게 되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됨에 따라서 시중 금리는 하락하게 됩니다. 은행에 예치를 하는 것은 수익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이는 투자를 통한 추가 수익 창출에 대한 욕구를 상승시킵니다. 따라서 통화량이 증가하면, 주식시장을 포함한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