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귀중한관박쥐30
귀중한관박쥐30

출산이 0.6명인데 이게 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많은 사람들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없고 우리나라가 망한다는 말에 많습니다. 인구 수가 점점 줄고 출산이 0.6명인게 경제적으로 어떤 의미 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합계출산율 1이하는 자연적 인구감소가능으로 경제를 운영할 인력이 부족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사실상 내수시장의 위축, 기업들의 미래 인재 확보의 어려움 등 사실상 부정적인 측면만을 유도하여 미래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있어서 가장 큰 먹구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재 대한민국은 영토 대비 인구가 많아서 솔직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긴 합니다. (* 남한 영토에 5,200만 명 살고 있는데 솔직히 인구 너무 많습니다. 그것도 수도권만 밀집이라서 이건 뭐 답도 없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출산률이 0.6명으로 떨어지는 것은 경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칩니다.

      1. 노동 공급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 출산률이 낮아지면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생산가능인구(일반적으로 15세~64세)가 감소하면서 노동 공급이 줄어들고, 이는 생산성 감소를 가져옵니다. 또한 전체 인구가 줄어들면서 내수 기반이 축소되어 국가 경제의 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사회 보장비용 증가: 저출산이 지속되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고령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사회 보장비용이 증가하고,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국민연금 부담 증가: 저출산과 고령화는 국민연금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입자 수가 감소하면서 보험료 수입이 줄어들고, 기대수명 증가로 수급자 수는 더 증가해 보험료 수입감소, 급여지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미래세대의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들의 연구와 논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0.6명은 인구소멸 단계로 진입한 것이며 과거 유럽에 흑사병이 창궐했던 시기와 비슷한 수준의

        출산율로 두바뀌만 돌면 현재 출산율이 4분의 1인 0.15명으로 줄어든다는 계산이 됩니다.

      • 이는 내수 경제로는 어렵고 해외 판로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고 국민연금과 같은 사회적인 보장이

        이어질지가 의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나라가 망하지는 않죠 인구가 줄어들고 경제가 침제되면 외국인들이 와서 다 먹어치울것이고

      가난한 사람들은 나쁜말로 그들의 종노릇을 할겁니다 일본도 외국인들이 편의점이나 3d일을 하고 있고

      미국도 그렇죠 남아메리카사람들이 스페인이나 미국가서 청소일을 하고 시민이 됩니다

      지금 젊은사람들이 늙어서 고생할거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 감소와 출산율 하락은 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노동 인구의 감소로 생산력이 저하되고 사회적으로 노령화가 심화되어 복지 부담이 증가합니다. 또한, 소비 수요가 감소하여 경제 성장에 제약을 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출산율이 1미만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것은 곧 절대적인 인구수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일을 해서 국민연금을 납입하는 이는 감소하고 국민연금을 받아서 사용하게 되는 이는 증가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게 되요

      그리고 일을 하는 이가 감소하게 되니 세수는 감소하게 되고 연쳥층이 높아지게 되면서 소비 문화가 위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국가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인구수가 부족한 국가는 결국 내수시장이 위축되는 시장이 되는데 이런 경우 다른 국가들과의 교섭 관게에서도 열위에서 교섭을 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위와 같은 경우 적극적인 소비계층이

      사라지기도 하며 더불어서 노동력 부족 및

      노인부양 문제가 대두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출산율 0.6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습니다.

      극도로 저조한 출산율은 분명 한 나라의 경제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질문해주신 경제에 대해선 다음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있습니다.

      바로 생산 인력을 감소시켜서 생산에 차질이 생기며

      동시에 소비하는 인구 역시 감소하기에 소비가 위축되는 등으로 인해 기업 활동이 크게 약화될 것입니다.

      또한, 과도한 복지 비용이 들어가게 될 것으로 이 또한 경제에 부담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