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반도체 산업이 안좋은 이유를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반도체주가 어닝쇼크라고 인터넷 기사에 자주 나오던데요, 왜 이렇게 반도체 산업이 안좋은것인지 알수 있을가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은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일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당장은 크게 문제가 되는거 같지는 않습니다. 수출도 잘되고 AI 데이터 센터, HBM 등
호재만 계속되고 내년에는 HBM 공급이 상당히 커질거란 관측도 있습니다.
또한 하반기 반도체 불황이라고는 하나 미국 반도체 회사 마이크론의 호실적 등이
현재 상황을 말해주죠.
다만 내년이 넘어서면 HBM의 과잉 공급 등 안좋은 전망등을 말하지만 좀 시장 상황을
지켜볼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시장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죠.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금리에 따른 경기 둔화와 중국 저가 반도체 공세가 반도체 기업 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 산업의 폭발적인 수요는 2분기를 피크로 이제는 피크아웃 단계로 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실제 반도체 기업에서는 하반기 및 내년도 발주까지 이미 마쳤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로
산업 자체는 단단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0월 7일에 발표될 예정인 삼성전자의 어닝이 중요하고 여기서 가이던스를
어떻게 제시하는지에 따라서 삼성전자의 올해 연말까지 흐름이 결정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경쟁에서 밀리는 것이 사실입니다 삼성전자나 하이닉스라고 해서 항상 선두 자리를 가져갈 수는 없지요 또한 미국의 우회적인 경제 제재로 우리나라 반도체가 어려워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반도체 산업이 좋지 않은 이유는 PC와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반도체 산업이 안좋다고 합니다.
향후에 스마트폰 사용량 증가와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더 많은 반도체가 개발되고 사용된다면 다시 반도체 시장이 호황이 될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지난달 삼성전자의 메모리 부문 업황 악화를 이유로 목표가를 10 만5000원에서 7만 6000원으로 내렸고, 이어 글로벌 금융그룹 맥쿼리 역시 메모리 부문의 수요 악화를 근거 삼아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낮췄고, 목표가를 12만 5000원에서 6만 4000원으로 반으로 떨어뜨렸습니다. 외국계 금융사들이 삼성전자에 대해 비관적인 평가를 내린 가장 큰 원인은 메모리 반도체의 업황인데, 이들은 메모리 반도체의 공급 과잉에 따라 판매 가격이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수요 감소입니다.
팬데믹 동안 급증했던 전자제품과 IT 장비에 대한 수요가 이제 감소하면서 반도체 재고가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미중 기술 갈등과 같은 지정학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반도체 공급망 문제로 인해 가격 하락과 생산 차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이 맞물려 반도체 산업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에는 경기에 따라서
수요 등이 상당히 달라집니다.
이에 따라서 경기가 좋지 못할 떄에
수요가 둔화되어서 업황이 상당히 달라지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TSMC, Dupont 등 경쟁 업체의 협업 및 생산확대가 커지다 보니,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기존 강자였던 우리나라 기업들 대상으로 특히 위기론이 드세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재고가 많아서 입니다. 재고가 많으면 반도체의 판매가는 떨어집니다. 9월 디램 가격 동향을 보면 전원대비 크게 떨어졌습니다. 시장은 이미 그걸 반영하고 있는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재고가 많은 이유는 예상외로 휴대폰, IT 기기 등이 경기 둔하로 인해 안팔려서 입니다. 현재는 AI 관련 기업들만 잘나갑니다. AI 기업들은 B2C가 아니라 B2B 사업이 위주입니다. AI 반도체는 일반 디램이 아닌 HBM이 적용됩니다. HBM 관련 기업은 하이닉스가 대표적인데, 주가 흐름을 보면 하아닉스 주가 흐름이 삼성전자 보다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이것도 이런 상황을 반영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반도체 산업의 어닝쇼크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첫째, 전반적인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상황에서 재고 조정이 계속되고 있어 반도체 공장 가동률이 낮아졌습니다.
둘째, 메모리 시장은 2023년에 40% 이상 감소했고 특히 가격 하락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셋째, 소비자 전자제품과 같은 주요 시장의 수요 약화와 인공지능 칩에 특정 수요 증가로 반도체 산업 전반의 수요가 불균형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부터는 점차적인 회복이 예상되며 특히 AI와 스마트폰 수요가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로 인한문제도 있지만 미중간의 완력으로인한 문제가 더 큽니다.엔비디아이의 제품을 구매하지말라는 중국정부에 미국에서도 한국에 기업들에게 중국쪽에 반도체를 납품하지말라고하는 그런상황이 펼쳐지고있나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금 반도체 산업이 좋지 못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도체 산업은 대표적인 사이클 산업으로
좋았다 나빴다를 반복하는데
현재는 나쁜 상황으로 가고 있기에 안 좋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