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숩숩숩
숩숩숩

저가 커피 브랜드에서는 마진이 얼마나 남나요 ?

문득 저가 커피 브랜드 .. 예를들면 메X커피같은 곳에서 프라페종류를보면 4천원도 안하는 한결한은 금액으로 음료한잔을 푸짐하게 제공해주잖아요. 한 개 팔아봤자 얼마 안남을거같은데 저가커피 브랜드들은 왜 이렇게 싸게들 파는건가요 ? 약간이것도 백종원선생님처럼 회전율을 중시해서 그런가요 ? ㅎ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대량 판매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메가커피는 본사 마진율이 약 48%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다른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영업이익률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높은 마진율은 대량 구매와 대량 로스팅을 통한 원가 절감, 매장 운영 비용의 최소화, 그리고 가맹점 수의 증가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 등에 기인합니다.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에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회전율을 높여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는 백종원 선생님처럼 회전율을 중시하는 전략과 유사하며,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대량 판매를 통해 충분한 이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또한,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 없이 품질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하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합니다. 예를 들어, 매장 규모를 작게 하거나, 인테리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통해 원가를 낮추는 전략을 취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커피를 제공하면서도, 브랜드가 건전한 이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와 같은 저가 커피 브랜드의 전략은 커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들 브랜드는 충분한 마진을 확보하며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저렴한 가격에 음료를 제공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회전율을 매우 중시합니다. 저렴한 가격에 많은 고객을 유치하여 빠른 회전율을 유지함으로써 총 매출을 높이는 전략을 취합니다. 예를 들어, 한 잔에 4천 원도 안 되는 프라페를 팔 때 마진이 적더라도, 많은 양을 팔면 결국 수익이 쌓이게 됩니다.

    또한,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원가 절감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대량 구매를 통해 원재료 비용을 낮추고, 간단한 메뉴 구성과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합니다. 더불어, 고급 인테리어나 대규모 마케팅 비용을 줄여 운영비를 최소화합니다.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싸게 판매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대규모 프랜차이즈 모델을 채택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매장을 운영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각 매장이 일정 수준의 수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낮은 가격에 많은 양을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위해 비용 절감과 효율적인 운영을 강조합니다. 백종원 선생님처럼 회전율을 중시하는 전략이 이러한 브랜드들의 성공 비결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저가 커피의 이익구조는 박리다매 방식입니다. 1500원짜리 커피의 원가는 대략 50% 750원 정도 됩니다.

    이러한 것을 하루에 200잔 정도 파는 전략입니다. 그리고 커피는 미끼 상품이고 좀 더 높은 단가의 음료를 팔아서

    좀 더 남기는 구조로 즉 박리다매 형식으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저각커피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워낙 싼값에 커피를 팔기때문에 마진율이 너무박해서 인건비도 못챙기는 수준인데 본사는 영업이익률이 높다고 합니다

    박리다매로 인한 비용부담을 점주들이 하고 있어서 비판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