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이 단체로 이동할 때, V자로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늘에 새들이 무리지어 날아다닐 때 보면 V자 모양으로 날아가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유는 무엇인가요? 또, V자 모양일 때 새들의 리더는 가장 앞쪽에 있는 새일까요?
안녕하세요.
앞에서 날아가는 새의 날갯짓이 공기 중에 상승 기류를 만들어내는데, 뒤에서 나는 새들은 이 상승 기류를 타고 비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기 저항을 줄여주어 에너지를 절약하게 합니다. V자 모양의 선두에 있는 새가 항상 리더는 아닙니다. 선두에 있는 새는 공기 저항을 가장 많이 받아 힘들기 때문에, 자주 교대하여 앞서 나가는 새가 바뀝니다. 따라서 무리의 리더는 단순히 앞에 있는 새라기보다는 전체적인 비행 패턴과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이 먼 거리를 날아서 단체로 이동 할 때 V자 대형을 이루며 날아갑니다.
비행은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행동인데
새가 날개짓을 할 때 그 뒤의 양쪽 끝에 상승기류가 발생합니다.
상승기류를 타며 날면 에너지를 덜 소모하면서 날 수 있습니다.
선두에 날아가는 새는 리더는 아니고 처음 날 때 앞자리를 잡은 새입니다.
선두의 새는 공기저항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쉽게 지치며
선두의 새가 지치면 뒤에서 날던 새가 자리를 바꾸어 줍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새들이 V자형 비행을 하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며, 두 번째는 리더를 쫓아가면 되기 때문에 비행하기가 쉽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이때 맨 앞에 날아가는 새가 날개 짓을 하면 공기가 움직여서 그 뒤에 소용돌이 기류가 남는데 이 소용돌이 기류는 위로 향하는 흐름, 즉 상승기류를 만듭니다. 따라서 뒤따르는 새들은 이 상승기류를 이용해 별로 힘들지 않게 날아갈 수 있으며, 맨 앞에 날아가는 한 마리를 빼면 다른 새들은 에너지를 아끼면서 날아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맨 앞은 다른 새들보다 힘이 더 센 새가 맡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새들이 V자 형태로 나는 주된 이유는 에너지 효율성 때문입니다. 이 대형은 공기역학적으로 유리해서, 앞서 나는 새가 만드는 상승기류를 뒤따르는 새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로 인해 전체 무리의 비행 거리가 약 70% 증가하고, 에너지 소비가 줄어듭니다. V자 대형의 맨 앞에 있는 새가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새들은 주기적으로 선두 위치를 교대합니다. 따라서 맨 앞의 새가 반드시 무리의 리더는 아니며, 리더십은 여러 새들이 돌아가며 공유합니다. 이 협력적인 비행 방식은 장거리 이동 시 전체 무리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새들이 단체로 이동할 때 V자로 날아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에너지 절약입니다. V자 형태로 날아가는 경우, 앞에 있는 새의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 기류를 뒤따르는 새들이 이용하여 상승 기류를 타고 날아갈 수 있습니다. 마치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앞서가는 사람의 바람을 막아주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V자 형태로 날아가는 새들은 단독으로 날아가는 것보다 11~14%나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하며, 이는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철새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이유는 항해 효율 향상입니다. V자 형태로 날아가는 경우, 앞에 있는 새가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여 뒤따르는 새들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안개나 구름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된 경우, 이러한 효과가 더욱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