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고등어가시가 걸려 질문드립니다.
23일 일요일 12시쯤에 점심다 먹어갈때쯤 고등어먹다가 고등어 가시 삼켰다가 목에 걸린거같은데
그래서 따뜻한 커피 마셔보니 목에 걸린게 느껴졌습니다. 예감 과자도 먹어버려서.
그래서 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내과에 가봤는데 이비인후과는 일요일에는 문안열었고 내과에는 갔더니 목에 걸린거같다고 말했더니 빼낼기구가 없다고 하시고 무턱대고 했다가 위험할수있다고 큰병원 가보라고 하는데 저녁시간이었기에 큰병원에 가는건 무리였고 그래서 다음날
오늘 동네 이비인후과가서 내시경 했는데 가시박힌게 없다고 하시네요. 혹시 식도쪽에 박힐수도 있으니 대학병원 소견서 작성해주고 거기 가보라고 갔는데 거기선 예약을 해야 된다고 예약 시간이 4월 22일이라고.. 그래도 목에 가시가걸린 듯한 통증때문에 될수있는 병원 찾다가 중앙 이비인후과를 찾아냈고 거기가서 후두내시경 촬영해보니 가시박힌게 없답니다. 혹시 CT 촬영으로 보일수도 있다고 하여
닥터스 영상 의학과가서 CT촬영 해보라고 진료의뢰서 써주고 CT 촬영 해보았으나 거기서도 식도에 아무런 증상이 없다고 합니다.. 근데 저는 아직도 꿀꺽 할때마다 목쪽에 걸린듯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고등어가시가 내려가면서 상처가 생길수도 있다고 닥터스쪽에서 그러시던데
중앙 이비인후과에서도 CT촬영 영상 살펴보니 이상이 없답니다.. 그래도 경과를 지켜보자는 식으로 애기했습니다. CT촬영해도 의사가 이상 없다고 하니 없는거 맞겠죠?
근데 네이버 지식인 이비인후과 의료원분 한분이 고등어가시는 CT촬영해도 안보인다고 그러던데 사실인가요?
아무튼 좀더 지켜보고 그래도 목에 가시가걸린 듯한 통증그대로 남아있다면 다시 이비인후과가서 후두내시경, CT촬영 해보는게 좋을까요? CT 촬영해도 이상없다하시고 너무 불안합니다. 식도 농양이나 천공이 될수있다는 글봐서 불안해요. 아니면 내과라도 가야하나..
그래서 질문은
1. 의사가 이상 없다고 하니 없는거 맞겠죠?
2. 네이버 지식인 이비인후과 의료원분 한분이 고등어가시는 CT촬영해도 안보인다고 그러던데 사실인가요?
3. 좀더 지켜보고 그래도 목에 가시가걸린 듯한 통증그대로 남아있다면 다시 이비인후과가서 후두내시경, CT촬영 해보는게 좋을까요? CT 촬영해도 이상없다하시니 너무 불안해서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1. 의사가 이상 없다고 하니 없는거 맞겠죠? 담당선생님이 확인을 하셨고 검사도 이상이 없다면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2. 네이버 지식인 이비인후과 의료원분 한분이 고등어가시는 CT촬영해도 안보인다고 그러던데 사실인가요? 안 보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크기가 작으니가요
3. 좀더 지켜보고 그래도 목에 가시가걸린 듯한 통증그대로 남아있다면 다시 이비인후과가서 후두내시경, CT촬영 해보는게 좋을까요? CT 촬영해도 이상없다하시니 너무 불안해서 : 그렇게 하시면 더욱 좋을 것 같네요. 증상이 호전이 되지 않고 지속이 된다면 확인을 해보는 것이 맞으니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큰 생선 가시의 경우 식도 점막에 박힐 수 있고 심하거나 시간이 지체 되는 경우 염증으로 인하여 천공의 위험성도 있어 CT상 이상이 없었다면 서둘러 위 내시경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찰 가능한 범위는 후두 부위까지로 이하 부위인 식도에 가시가 박힌 경우 확인 안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 입니다
고등어 가시가 걸린 후 겪고 있는 불편함과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이신데, 현재까지의 검사 결과에 의하면, CT 촬영과 내시경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식도나 목에 외상이나 농양, 천공 등의 징후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하셨죠. 사실, 고등어 가시나 작은 이물질이 식도에 걸렸을 때, 가시가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하거나 배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가시가 매우 작은 경우, CT 촬영이나 내시경으로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목에 계속해서 통증이 남아있다면, 목 안쪽이나 식도의 미세한 상처로 인한 염증이나 자극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치유되지만, 상처가 깊거나 염증이 심할 경우에는 경과를 지켜봐야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소염제나 진통제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물이랑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이물질이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킬 경우, 이비인후과에서 후속 검사를 통해 정확히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시경과 CT 촬영을 반복할 필요는 없지만,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다시 병원에 가서 다른 방법으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