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요?
최근 미세플라스틱이 많아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미세플라스틱이 어떻게 형성되고 이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의류와 직물에서 발생하는 미세 섬유가 전체 미세플라스틱 발행의 35%를 차지합니다.
자동차,트럭,항공기 타이어의 마모로 인해 28%의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며,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먼지 24%를 차지합니다.
이 외에 버려진 플라스틱, 화장품, 치약 등이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은 해수면, 해수층, 해저 퇴적물, 북극의 해빙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퍼져있습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 섭취로 인해 해양 생물의 성장과 번식에 장애가 발생하여
전체 생태계 균형이 무너질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과 중금속을 흡착하여 생물체 내로 전달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미세프라스틱은 공기 중에도 존재하며, 인간은 매년 최대 220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해 생성됩니다.
제일 먼저 대형 플라스틱 제품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작은 조각들로 부서지며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합니다. 햇볕과 파도, 물리적 충격 등으로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미세한 입자로 변합니다.
그리고 의류, 카펫, 침대 시트 등에서 나오는 합성 섬유(예: 나일론, 폴리에스터)가 세탁 과정 중에 물에 씻겨 나가면서
미세플라스틱을 형성합니다. 이는 세탁수로 배출되거나, 물을 통해 하수로 유입됩니다.
또한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가 일어나면서 타이어의 고무와 함께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로에서
타이어가 닳을 때 발생한 미세 입자가 공기와 물로 방출됩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그 크기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양 생태계나
인간 건강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