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재미랜
재미랜

미국과 우리나라 은행은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는다고 하는데 물가는 잡힐가요?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니까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리는 건가요?아니면 진짜로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건가요?금리 올린다고 물가 잡힐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크라이나vs러시아의 전쟁사태 등의 영향도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을 초기에 확실히 잡지못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꽤 많은 금리인상정책이 있었음데도 눈에 띄는 효과가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금리인상은 확실히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춰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효과가 있고 그렇기 때문에 현재 금리인상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가 오르면 정부가 발행하든, 기업이 발행하던, 소매 발행 채권이든 고스란히 영향을 받습니다. 은행은 정부 채권을 최소 5%대의 이율로 빌려 마진을 붙여 5%대 이상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적용합니다. 채권이 오른만큼 비용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가가 오르면 은행의 조달비용이 늘고 이는 최종적으로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집니다.

    물가와 금리가 밀접한 또 하나의 이유는 소비자 지출 때문입니다. 물가가 높으면 소비자는 소비를 줄이고, 소비가 줄어들면 수요보다 공급이 커지며 경제 순환이 어긋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두 가지 이유 모두 현재에 맞는 내용입니다.

    •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우리나라도 미국 보다 더 높여서 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국내 경제여건이 따라주지 않는 상황이라서

      현재는 한미간 금리가 역전된 상황입니다.

    • 물가를 잡기 위해 유동성을 줄이고 소비와 투자를 감소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금리를 올리면 이론적으로 소비가 줄어들어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해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 하지만 현재의 물가인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발 전쟁으로 인한 공급충격으로 인한 부분도 있기기 때문에 금리

      정책만으로확실하게 잡힌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론대로 꼭 흘러가지는 않습니다만

    미국의 금리인상은 기본적으로 강달러 유지를 위함입니다.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더 높은데 한국에 투자할 사람은 없겠죠

    그러면 우리도 부득이하게 금리를 인상하게 되고..

    이론적으로 통화가치 상승이므로 인플레를 어느정도 방어할 수는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수요측면 이야기이고 공급측면 문제는 별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에 유통되던 돈이

    은행으로 몰립니다.

    이에 따라서 시중에 화폐가 줄어듬에 따라서 물가의 상승폭을

    제한시키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정책으로 금리인상을 하는것이며 우리나라는 이에 방어하는 수준입니다.사실상 전쟁등 국제적으로 여러이슈등으로 인플레이션에 악재가 겹치고 있어 그 효과가 잘 나타나고 있지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