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수도권지역 집값이 특히 많이 빠지는 원인
년말들어서 수도권 집값이 반값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던데 이유가 있나요
지방에 살고 있는데 아직 제가살고 있는 지역은 집값변동이 없네요
내년에 새집 장만을 하려니 걱정이되네요
집구입후 집값하락이 나면 안되니 내집 마련을 몇년 늦춰야 하는것 같기도 하고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민국은 언론이 참 문제입니다.
분명 2가지 중 하나일것입니다.
1. 기존 호가 최고가 대비 현재 호가 최저가 (로얄동, 로얄층, 1층 관계없이 비교한...)
2.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증여등....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의 경우 그동안 거품이 엄청나게 끼어있었습니다. 물론 모든것이 그런것은 아닙니다만 대부분의 부동산이 불과 2~3년만에 두배 이상이 되었죠. 1억 5천만원 하던 구축 아파트가 재건축 재개발 이슈를 타서 4억을 그이상을 웃돌았으니까요. 물론 지금도 거품인지는 모르겠으나 10년전 3억하던 아파트들 10억합니다.
한편으로는 10년전 3억은 원래 큰돈이라고 하는사람도 있지만 월급상승대비 엄청나게 오른것도 맞습니다. 이렇듯 거품이 심하게 낀 지역의 경우 빠지고 있는데 입주물량또한 엄청 나와서 맥을 못추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더 큰이유들도 많긴 하지만 지방대비 수도권 아파트 가격에 거품이 많이 끼여있다라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금리상승으로 인한 수요 감소가 제일 큰 이유입니다. 다만, 이러한 거래침체는 수도권 뿐 아니라 전국적인 추세이며, 수도권이 더 빠르게 가격이 빠지는 이유는 그나마 실제 거래가 있어 실거래가로 그 감소폭이 공시되기 때문입니다. 즉 거래가 거의 없는 지역내에서는 실거래가가 없기 때문에 가격하락이 눈에 보이지 않은 이유도 있고, 수도권의 경우 영끌족등의 패닉셀 매물도 상당히 있는 편이기에 더욱 가격 하락폭이 크게 보이는 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