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02.11

트리핀의 딜레마는 왜 발생하나요?

중앙은행이나 정부는 완벽한 정책이없고 무언가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이에 대표적인 상황이 트리핀의 딜레마라고 하는데 이게 왜 발생하고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트리핀의 딜레마는 1950년대 미국의 장기간 경상 수지 적자 때문에 만들어진 개념으로 당시 예일대 교수였던 로버트 트리핀은 미 의회에서 '미국이 경상적자를 허용하지 않고 국제 유동성 공급을 중단하면 세계 경제는 크게 위축될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적자 상태가 지속돼 미 달러화가 과잉 공급되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해 준비자산으로서 신뢰도가 저하되고 고정환율제도 붕괴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고 합니다. 즉, 달러의 공급을 늘려도 문제가 되고 달러의 공급을 줄여도 문제가 된다는 것으로서, 어떠한 선택을 해도 답이 없다는 것에서 트리핀의 딜레마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