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4.03.21

우주의 대부분은 어째서 깜깜한건가요?

지구에서만 봐도 태양 덕분에 낮이 존재하는데, 우주에는 태양보다 더 강한 빛을 발산하는 천체가 정말 많음에도 불구하고 왜 깜깜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블랙홀이라는 천체가 빛을 빨아들여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깜깜한 이유는 주로

    우주의 규모와 별 사이의 거리 때문입니다.

    우리 태양과 같은 별들은 엄청난 양의 빛을 발산하지만,

    별들 사이의 거리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멀기 때문에

    그 빛이 우주 전체를 밝힐 만큼 충분히

    밀집되어 있지 않습니다.

    올베르의 역설은 우주가 무한하고 영원하며

    모든 방향으로 별로 균일하게 채워져 있다면 밤하늘은

    어둡지 않고 밝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는 우주가 정적이지 않고, 팽창하고 있음을 감안하지 않은 견해입니다.

    우리 우주는 빅뱅 이후로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먼 은하의 빛은 겉보기에 약해지며 적색편이되어 가시광선 범위를 벗어납니다.

    또한 우주의 나이는 유한하기 때문에, 우주의 가장자리나

    그 너머에서 오는 빛은 아직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우주 배경복사를 제외하면, 우주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빛이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밤하늘은 어둡게 보입니다.

    블랙홀이 빛을 빨아들이기는 하지만,

    이 현상이 우주가 어둡게 보이는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블랙홀은 국소적으로는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빛을 포획할 수 있으나,

    전 우주적 규모에서 블랙홀이 빛의 부재를 설명하는 데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주가 어둡게 보이는 주된 이유는 우주의 실제 크기와 별들 사이의 거대한 거리 때문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는 태양보다 훨씬 강한 빛을 발산하는 천체들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우주가 어둡게 보이는지 궁금하시죠. 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블랙홀은 중성자 별이 진화한 후 폭발하여 수축된 결과물로, 중력이 워낙 강해서 주변 물질과 빛을 포함한 모든 것을 빨아들입니다. 블랙홀은 물질이 붕괴된 공간이며, 중력이 매우 강해 빛마저 빠져나갈 수 없습니다. 블랙홀 주변의 가스는 강착원반을 형성하며, 이 강착원반에서 빛이 나오지 못하고 검게 보입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블랙홀에서 멀어지면 중력이 약해져 빛이 나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합니다.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가스는 과열되면서 빛을 방출합니다. 이 빛은 블랙홀 주변을 회전하는 강착원반에서 밝게 빛나며, 블랙홀의 윤곽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은하 중심에 존재하며, 이러한 블랙홀들은 은하계 진화에 영향을 끼칩니다.

    따라서 블랙홀은 빛을 빨아들이는 특성 때문에 우주가 어둡게 보이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무리 화난 천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환한 천체가 발생되는 빛을 받아줄 만한 물질이 우주에는 많지 않기 때문에 우주는 검게 보입니다.

    밝게 보이기 위해서는 빛이 반사되어 돌아와야 되는데 우주는 워낙 넓고 빛이 반사할 수 있는 행성들이 놓여있는 간격이 넓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빛을 내는 천체인 별이 있지만, 그 수는 많지 않습니다. 또한, 빛을 발하는 천체들도 매우 먼 곳에 있어서 우리가 보는 우주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모습을 보입니다.우주는 계속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먼 곳으로 갈수록 별들 희미해지고 우리에게 도달하는 빛이 감소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는 깜깜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