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남다른오릭스74
남다른오릭스74

실리만 따졌을 때 북한하고 통일 되는 게 이득인가요 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치적 관점 없이 그냥 실리만 따졌을 때

통일 되는 게 득과 실 중에 어떤게 더 클까요?

당연히 지금 당장은 실이 훨씬 크겠지만

먼 미래에 장기적으론 통일된게 더 크겠죠?

그럼 그런 분기점이 몇년뒤에나 올까요?

사실상 지금 세대들은 부담만 안고 고생만 하다가 끝날 거 같은 데

어떨거같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일은 단기적으로 막대한 경제적·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적·자원적 통합을 통해 경제 성장과 국제적 위상이 크게 향상될 잠재력이 있습니다.

    통일 이후 약 20~30년이 지나야 투자 대비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며, 현 세대는 부담과 초기 혼란을 감내해야 할 가능성이 큽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른 것 같습니다.

    통일에 대하여 이득이란ㄴ 입장도 있고

    얻는 것이 거의 없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노동력, 부동산, 자원 활용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였을 때, 실익이 크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북한이 통일 될 경우 장기적으로는 인구가 늘게 되고 북한이 가지고 있는 천연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단기적으로 본다면 북한의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북한을 지원하는 데 많이 비용이 지출되어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과 통일을하면 들어가는 비용이 훨씬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제 격차도 크고 토지 기본 인프라, 농수산물 배해 경작지 등 모든 것이 부족해 사실상 우리나라의 지원이 막대하게 들어가야만 할 것 입니다. 물론 지하자원이나 관광업으로 일정 부분 메울 수 있겠지만, 최소한 백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과의 통일은 단기적으로는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할 것입니다. 북한의 낙후된 인프라 개선, 경제 시스템 통합, 주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 등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남한 국민들에게 상당한 세금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통일의 이점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인구 증가로 인한 내수 시장 확대, 북한의 풍부한 천연자원 활용, 지정학적 이점 등이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군사비 감축,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의 부수적 이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통일의 경제적 손익분기점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지만, 대체로 통일 후 20-30년이 지나야 실질적인 이익이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합니다. 따라서 현 세대의 부담이 크겠지만,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실리만 따졌을 때에 북한하고 통일되는 것이 이득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무조건 이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영토가 넓어지고 인구가 많아지는 것만으로도 이득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시적으로 통일의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와 북한의 천연자원 활용, 내수규모 확대 등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 장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 장기적으로 보냐 단기적으로 보냐에 따라 다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신규 인력과 자원, 토지등으로 인해 이득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 보면 통일비용이라는게 막대하게 소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