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아이들을 만날 때 교사가 가장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요?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만날 때, 교사로서 어떤 점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까요?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아이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이 궁금합니다.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푸른마음심리상담센터입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나와는 다르다는 걸 알지만 어떻게 뭐가 다른지에 대해 당황스럽기도 할겁니다.

    그래서 다문화 아이들을 만날때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건, '결핍접근'이 아니라 ' 자산/자원 접근'입니다.

    이 뜻은 아이의 다름(언어 표현능력 등)이 부족함이 아니라 아이에겐 두 문화의 감수성이 있다.. 라는 접근입니다.

    이러한 접근은 상호작용의 질을 결정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문화의 다름을 이해하고 그걸 포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설계하는 겁니다. (예: 언어표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행동이나 다른 매체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던가, 혹은 음식/간식을 어떻게 골라야 할지 등등입니다.)

    또한 제일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선생님이 갖고 있는 고정관념, 편견, 암묵적 기대 등을 자기 점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잘 어울려지면 아이의 문화적 정체성은 보호되고 자연스럽게 아이들과 어울릴 수 있게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다문화 아이를 만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 부모의 문화 입니다.

    아이는 문화는 대한민국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부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 문화의 특징을 잘 이해하는 것이 먼저 입니다.

    또한, 각자 기질적 차이는 다르기 때문에 각 기질에 맞춰 지도를 하는 부분도 필요로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들의 감정을 돌보며 대화적인 소통을 하면서 아이의 행동적 지도를 해주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다문화 유아를 만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른 아이가 아닌 동등한 구성원으로 느끼도록 하는 정서적 안전 확보입니다.

    편견 소외를 예방하기 위해 모든 유아에게 다양성 교육을 함께 제공하고, 교사는 의도치 않은 차별적 언어 기대 수준을 조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다문화 유아를 만날 때, 교사는 먼저 아이의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언어와 의상, 음식 등 문화적 차이를 이상하게 여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를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또 다른 아이들이 차이를 배움과 존중의 대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림책이나 노래, 놀이 등을 활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사의 무심한 말이나 시선이 아이에게 상처가 될 수 있으므로, 평등한 시선과 따뜻한 언어 사용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아이들이 나는 여기서 인정받고 있다는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핵심임을 기억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다문화 유아를 만날 때 교사는 문화적 차이를 결핍이 아닌 다름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아이의 언어, 가정문화, 생활습관을 존중하며, 반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문화를 긍정적으로 경험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 언어 이해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세심히 관찰해 차별 없이 포용적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다문화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다문화 아동은 언어, 생활 방식, 가치관 등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정체성 혼란이나 사회적 소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교사는 먼저 아이의 문화적 특성과 언어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수업 자료와 활동을 구성해야 합니다. 교사가 활동을 할 때 다양한 문화의 전통이나 언어를 소개하고, 아이가 자신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게 하고, 편견 없는 시각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열린 태도는 아이의 자존감과 소속감을 높이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