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일반적으로자발적인재채기
일반적으로자발적인재채기

원형의 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토크 계산이 맞을까요?

원형 회전판, 무게10kg, 지름 75cm

T=(10⋅9.81)⋅0.375=36.79Nm

이 맞을까요?

위의 값이 맞다면, 40Nm이상의 모터를 사용하면 되고,
40Nm이상의 제품이 드물기 때문에 감속기를 사용할 수 있는 유성감속기어드 스테핑모터(PGM56Q-NK2770)를 사용한다면, 1:18 정도의 감속비를 사용하면 회전 가능할까요?

위의 내용 이외의 고려해야할 부분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계산한 값
    T= (10 ⋅ 9.81) ⋅ 0.375
    = 36.79

    Nm
    T=(10⋅9.81)⋅0.375=36.79Nm는 맞습니다. 따라서 40Nm 이상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0Nm 이상의 제품이 드물다면, 유성 감속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입니다.

    1:18의 감속비를 사용하면, 스테핑 모터의 토크가 증가하므로, 모터의 출력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T output = T motor ⋅ 감속비
    = T motor ⋅ 18

    T output =T motor ⋅감속비=T motor
    ⋅18
    따라서 모터가 2.22Nm 이상이면 40Nm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22Nm의 모터를 사용하면:
    T output = 2.22 × 18 = 39.96
    Nm
    T output
    ​=2.22×18=39.96Nm

  •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계산은 맞습니다.

    36.79Nm 토크가 필요한 상황에서 40Nm 이상의 모터를 선택하는것은 적절합니다.

    스테팽 모터를 사용할 경우 말씀하신 감속비를 적요하면 모터의 출력 토크가 증가합니다. 감속비가 높아질수록 출력 토크는 증가하지만 회전 속도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감속비를 사용하면 충분한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사항에 대해 말씀해드리겠습니다.

    • 스테핑 모터의 사양에서 최대 허용 토크를 확인해야 합니다.

    • 모터가 장시간 작동할 경우 발열 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냉각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제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회전판에 가해지는 부하가 변할 경우 추가적인 토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