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6

프로이드가 말한 자아, 초자아, 원초아는 어떤차이점이 있는가요?

심리학자 프로이드가 자신의 이론을 설명할때 자아, 초자아, 원초아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요여기서말하는 자아, 초자아, 원초아는 단어사이에 어떤 차이점들이 있는지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6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의 성격구조이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드(id): 원초아

    이드는 인간의 본능을 말하며 성적본능, 공격적 본능, 자기보존의 본능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쾌락을 충족시키려는 쾌락 원리에 따라 움직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며 무의식적이고, 어린 영아의 사고나 정신병자의 환각, 환상, 꿈 등은 이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비언어적이고 비과학적인 1차적 사고과정에 의해 움직이며 모든 정신력의 근원입니다.

    2. 자아(ego)

    자아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생겨나며 현실원리에 따라 움직입니다.

    본능의 욕구와 초자아의 억압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을 하며 가장 개성 있는 인격의 집행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의식에 있지만 전의식과 무의식에도 관여하며 방어기전은 무의식에 해당되는 부분이 관장합나다.

    생후 4~6개월에 발달합니다. 자아는 논리적이고 언어적이며 욕구를 참고 지연시키는 이차적인 과정의 사고를 합니다.

    3. 초자아(superego)

    초자아는 도덕적 기준에 맞추어 행동하도록 하며 양심과 같은 것으로 사회적 원리에 따라 작동합니다. 이상을 추구하며 쾌락보다는 완성을 위해 투쟁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재판관 같은 역할을 합니다. 1세 전후에 약간 생겨나며 주로 5~6세에 칭찬을 해주는 주위사람을 동일화함으로 시작하여 청년기까지 발전됩니다. 초자아가 이드의 충동을 심하게 억제하면 죄의식, 불안을 느껴 신경증적인 성격이 되며 초자아가 나약하여 이드의 충동을 조절 못하면 반사회적인 성격이 되기 쉽습니다.

    출처: https://janghoa.tistory.com/583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초아 - 본능의 지배를 받으며 무의식이 지배하며 쾌락추구가 목적, 본능적 욕구로 식욕, 성욕이 있습니다.

    자아- 출생 이후 개인의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쾌락을 추구하지만 현실을 고려하며 현실과 쾌락을 원하는 원초아를 조정하여 쾌락을 찾습니다.

    초자아- 성격의 도덕적, 사회적 판단적 기능, 도덕이나 완벽 원리에 의해 작동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드가 예기 하는 3가지 자아는 원초아(id)는 생물학적 구성 요소의 충동을 의미하고, 자아(ego)는 심리적 구성 요소의 행동을 의미하며, 초자아(superego)는 사회적, 도덕적 구성 요소의 통제를 기능한다고 합니다. 가가 요소는 끊임 없이 상호 작용 하면서 변화 발전을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심리를 다루며, 자아, 초자아, 원초아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자아(Ego)는 현실 세계에서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과 자아 정체성을 의미합니다. 자아는 인간의 인지와 판단, 현실적인 대처 능력 등을 담당합니다.

    초자아(Superego)는 양심을 비롯한 도덕적인 가치관이 담긴 부분으로, 우리가 사회적으로 습득한 가치관, 도덕적인 규범, 윤리 등을 표현합니다.

    원초아(Id)는 생명력과 본능, 충동 등을 담당하며, 성욕이나 굶주림 등의 본능적인 욕구가 이에 해당됩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인간의 심리 구조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성격과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개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행동, 인지, 욕구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정신 분석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심리 구조에 대해 연구하면서 '자아', '초자아', '원초아'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심리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 자아(Ego):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발달된 인식의 중심이며, 인간이 자신의 신체와 인식할 수 있는 세상을 인식하고 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아는 현실에 맞게 적응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동하며, 인간의 개성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초자아(Superego): 사회 규범, 윤리, 도덕 등의 규범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초자아는 개인이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을 강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초자아는 부모의 가르침, 문화, 윤리적 가치 등이 형성될 때 발생하며, 인간의 윤리적 책임과 도덕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원초아(Id):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충동, 욕구, 본능 등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원초아는 본능적인 충동과 욕구를 가지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충동과 욕구는 인간이 살아남는 데 필수적이지만, 사회적 규범과 충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함께 작용하여 인간의 심리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이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인간의 행동과 감정이 형성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심리학적인 이해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아, 초자아, 원초아 즉 이드는 프로이드 정신분석의 핵심개념입니다. 자아는 에고라고 불리는데 우리의 의식세계로 보시면 됩니다. 이드는 무의식세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종 억압된 충동, 욕망의 빙하덩어리의 바다 깊숙한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의 의식세계는 자아가 관장하는데 빙하의 꼭대기 위로 돌출되어 보이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무의식 세계의 욕망은 꿈이나 말실수 등으로 가끔씩 수면위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잠재되고 억압된 욕망을 찾아내는것이지요.

    초자아는 금지와 금기 등을 학습한 자아라고 보시면 됩니다. 신호등이 빨간 불이지만 지나가는 차도 없고 화장실도 급합니다. 이드는 건너가서 빨리 볼일을 보라고 합니다. 본능에 충실하라고 하지요. 하지만 초자아는 통제합니다. 그것은 법과 도덕에 위배되는 것이니 그러지 말라고 합니다. 이 두 세계의 충돌을 조화롭게 타협하는 것이 자아입니다. 본능을 따를 것인지 법을 따를 것인지 최종선택을 하는 것이지요.

    본능이 너무 억압되면 이것들이 돌출되어 나요면서 문제가 생깁니다. 반면에 초자아의 지시만 따르다보면 그것은 재미가 없지요. 우리들 의식과 무의식의 어딘가에 중간타협점을 잘 찾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