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인간 심리의 핵심적 요소로 생각을 하였다고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비판을 하였던게 라캉이라던데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려한벌11
    수려한벌1123.06.02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은 모두 정신 분석학을 중심으로 한 심리학의 주요 이론가로, 인간의 무의식에 대한 그들의 이론은 심리학의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두 이론가는 무의식에 대한 접근 방식과 이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공통점

    1. 무의식의 중요성: 둘 다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과 감정, 사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동의했습니다.

    2. 심볼과 메타포의 중요성: 두 이론가 모두 언어, 꿈, 그리고 다른 형태의 심볼과 메타포가 무의식적인 욕망과 갈등을 드러내는 방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차이점

    1. 무의식의 이해: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개인의 생각과 추억, 욕망이 억제된 곳으로 보았습니다. 이와는 달리 라캉은 무의식을 '구조화된 언어처럼' 이해했습니다. 그에게 있어 무의식은 단지 억제된 생각이나 욕망을 내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복잡한 구조였습니다.

    2. 자아의 이해: 프로이트는 자아를 본질적으로 개인적이고 내재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라캉은 자아를 '타자'로부터 반영되고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는 자아가 주관적 경험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의 결과라는 그의 견해를 반영합니다.

    3. 치료 접근법: 또한 두 이론가는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주로 과거의 억제된 충동을 탐색하고 이를 인식하도록 환자를 돕는 방향으로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반면 라캉은 환자가 그들의 현재의 언어 패턴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아 구조와 무의식을 이해하도록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이렇게 보면, 프로이트와 라캉은 무의식의 역할과 중요성에 동의했지만,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고 표현되는지에 대한 이해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