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모던한메뚜기71
모던한메뚜기7124.03.29

원래 피부증상들은 원인을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흔한 가요??

나이
3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몇년 전 일이지만, 갑작스럽게 전신에 피부염 혹은 두드러기

증상을 동반한 가려움증과 발진에 심하게 시달린 적이 있습니다. 지속기간은 두달 정도 됐었고, 피부과를 안가본 곳이 없는데 가는곳마다 원인을 진단하지 못하더라구요.. 알레르기반응도 없고 벌레도 아니고 피검사상 이상도 없다고..아직도 너무 의문이고 트라우마로 남더라고요..

원래 각종 피부염과 두드러기성 증상(전신에 심한 경우 포함)등 피부과적 증상들은 뚜렷한 원인을 파악하기 힘든 케이스들이 드물지 않게 있는 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두드러기는 원인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항원에 반응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 증상을 조절하면서 경과관찰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피부과 질환 중에는 특발성, 즉 명확한 원인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전신에 발생하는 피부염이나 두드러기의 경우 접촉성 알레르기, 약물 유해 반응, 감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검사상 특이 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부 질환의 진단에는 문진, 시진, 각종 검사 결과를 종합하게 되는데, 증상의 양상과 경과에 따라 다양한 진단적 접근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뚜렷한 외부 요인이 없고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면, 명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신 피부염의 경우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아토피피부염, 건선, 지루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등이 있습니다. 피부 생검으로도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전신 두드러기는 약 50% 정도에서 원인 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피부과 영역에서 원인 미상의 질환을 접하는 것은 비교적 흔한 일입니다. 증상의 조절에 초점을 맞추어 경험적 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생명이 위급한 피부 질환의 감별은 매우 중요하므로, 증상의 경과에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 시 반복적인 검사와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불명확한 진단으로 인한 불안감을 느끼실 수 있겠지만, 피부과 전문의와 치료 계획을 논의하고 증상 조절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피부 증상, 특히 피부염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경우는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상당히 흔합니다. 이는 피부 증상이 매우 다양한 내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환경적 요인, 심리적 스트레스, 특정 음식이나 약물에 대한 반응, 자가면역 질환, 내부 장기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기관 중 하나로, 내부 문제나 외부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창과 같습니다. 때로는 그 원인이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지만, 많은 경우에는 복잡한 인과 관계나 여러 요인이 겹쳐 있어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반응은 매우 개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동일한 자극에 대해서도 사람마다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과 전문의들조차도 명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다양한 검사와 시도를 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결정적인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증상에 대한 원인을 진단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다른 장기의 경우는 검사라도 할 수 있는데요

    피부질환의 경우는 검사조차 할 수 없기 때문에 순전히 보는 것만으로 진단을 해야합니다

    당연히 진단명을 알아내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것은 진단명이 무엇이 되었던 간에

    사용할 수 있는 약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단 범위를 좁히면

    치료를 시작할 수 있고 치료 효과에 따라서 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정도일겁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