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드본드(Covered Bond)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요?
정부에서 다음달에 커버드본드(Covered Bond)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고 하는데 커버드본드는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금융기관이 중장기자금 조달을 위해 주택자금대출채권, 공공기관대출채권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하며 ‘우량 자산 담보 채권’이라고도 합니다. 이 채권의 주요 투자자들은 은행, 펀드, 해외 중앙은행 및 정부기관, 연기금 등 다양하며, 발행주체는 자산을 보유한 여신금융기관입니다. 통상적으로 담보는 주택담보대출, 공공부문대출채권, 선박대출채권 등 탄탄한 담보가치를 보유한 대출채권이며, 채권의 금리는 대다수가 고정금리로 조기상환이 불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 채권은 크게 파산위험의 절연성과 이중청구권 특징을 지닙니다. 파산위험의 절연성이란, 이 채권의 발행에 이용된 담보자산이 발행회사의 재무제표에 계속 존재하되, 발행회사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의미한다. 담보자산이 발행회사로부터 절연되면 발행회사가 파산하더라도 담보자산에 대한 권리는 투자자들이 온전히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커버드 본드와 달리 일반적인 담보부채권의 경우 파산위험의 절연성을 가지기 못하기 때문에 발행회사가 도산할 경우 투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중청구권이란 1) 채권 발행자가 도산하더라도 담보자산에 대한 우선청구권과 2) 담보자산의 가치 하락으로 상환재원이 부족할 때 여타 자산 청구권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 특징으로 인해 커버드 본드는 위험이 크지 않은 채권으로 분류되어 발행회사의 신용등급을 상회하는 채권 등급을 획득할 수 있으며, 조기상환이 불가능하고 고정금리가 대다수인 특성을 이용하어 금융회사들은 이 채권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중장기대출자금으로 활용합니다. 핀란드, 프랑스, 아일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유럽의 많은 국가들이 이 채권을 활발하게 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5월 국민은행이 최초로 담보자산을 금융회사 외부에 신탁하여 절연시키는 방식으로 만기 5년, 발행규모 10억 달러, 금리 7.25%의 커버드 본드를 발행하였으며 이 채권에 아시아 56%, 미국 25%, 유럽 17%로 투자하였습니다. 2010년 7월에는 주택금융공사가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제31조를 이용하여 만기 5년 5개월, 발행규모 5억 달러, 금리 4.125%의 커버드 본드를 발행하였으며 투자자는 아시아 49%, 미국 38%, 유럽 13%로 구성되었습니다.
질문해주신 커버드 본드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Covered Bond란 우량 자산을 담보로 해서 발행하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커버드 본드란, 채권 중 한 종류입니다.
채권은 정부, 은행, 기업 등이 대규모 자금조달을 하기 위해 쓰는 일종의 차용증서 인데요.
커버드 본드는 이중상환청구권부채권이라고 합니다.
쉽게, 채권 내에 2개의 조건이 있습니다.
채권 발행자의 신용
주택담보대출까지 담보로 제공
이에 이중으로 안전장치가 들어간 채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 만들어 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은행이나 각종 금융회사가 주택담보대출이나 국공채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담보부 채권입니다. 커버드 본드의 특징은 투자자가 본드 발행자에 대해 소구권을 가지며, 발행자가 파산할 경우 담보자산에 대한 우선 변제권을 갖는다는 점이니다. 또한 다른것과 비교해서 담보자산뿐만 아니라 발행금융사의 상환의무까지 부여해서 안정성을 높인 특징도 있습니다.
✅️ 커버드본드는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개인의 대출로 비유를 해보자면 소위 '주택담보대출'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되며, 해당 채권은 발행자가 혹여라도 파산할 경우 재산에 대한 우선청구권을 가진다는 점도 특징입니다.
커버드본드(Covered Bond)는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의 일종으로, 발행기관의 신용과 담보 자산의 이중보호를 받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주택담보대출이나 공공기관 대출 등의 고품질 자산을 담보로 하여 발행됩니다.
안녕하세요.
커버드본드는 회사가 갖고 있는 우량자산을 담보로 해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담대를 우량자산으로 설정해서 발행한 적이 있습니다.
채권자는 회사가 망해도 우선적으로 담보에 대해 상환을 청구할 수 있고, 만약 이걸로 모자르면 회사가 다른 자산으로도 변제할 수 있는 좀 안전성 있는 채권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 입니다.
커버드본드(Covered Bond)는 금융기관이 부동산 담보대출 등 자신이 보유한 고정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이를 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투자자가 담보자산에 대해 우선변제권을 보장받는 동시에 채권 발행 금융기관에 대해서도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일반 채권보다 발행금리가 낮게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은행들은 만기가 짧은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장기로 자금을 운용할 경우 금리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장기 자금 운용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은행이 커버드본드를 발행하면 낮은 고정금리로 장기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장기 고정금리 대출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가계부채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커버드본드 발행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커버드본드는 주택담보채권이나 공공기관 채권과 같은 안전한 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채권입니다. 이는 발행기관이 부도 시에도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원금을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커버드본드는 주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발행하며, 안전성이 높고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버드 본드는 은행이 주택담보대출이나 공공기관 대출 같은 안전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이건 발행한 은행이 파산해도 담보 자산으로 투자자에게 상환할 수 있는 안전 금융 상품입니다. 커버드본드는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커버드본드는 우량 자산으로 담보를 설정하고 발행하는 채권 중 하나로서 일반적인 채권과는 다르게 발행자의 신용 상태 뿐만 아니라 담보 자산의 가치에 의해 신용등급이 결정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커버드 본드는 높은 안정성과 낮은 금리, 높은 유동성, 다양한 투자대상으로 은행, 펀드, 보험사 들이 투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커버드본드의 발행절차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 시키고 담보 자산의 범위를 확대함을 통해 커버드본드를 활성화 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커버드 본드란 금융기관이 보유한 주택담보대출채권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이는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이 자신의 자산 중 일부를 담보로 맡기고 돈을 빌리는 것과 같습니다.
커버드 본드라는 것은 채권의 한 종류이며 우리나라 말로 이중상환청구권부채권입니다.
커버드 본드의 특징은 투자자가 금융회사 등 커버드 본드 발행자에 대해서 소구권을 가지고 발행자가 파산할 경우 담보자산에 대한 우선변제권을 갖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 은행, 주식회사 등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쓰는 차용증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