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신기한이구아나135
신기한이구아나135

비말감염과 공기감염 차이점 무엇인가요?

비말이란게 환자 기침을 통해 나오는 물방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 기침을 통해 감염되는게 비말감염이라고 알고 있고요.

그렇다면 공기감염도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물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을 말하는게 아닌가요?

어떤 차이가 있길래 구분해서 쓰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제가 개념자체를 잘못 알고 있어 혼동이 발생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비말감염은 입자가 공기보다 무거우며 2~3m를 초과해서 날아가지 못합니다.

      공기전파는 이보다 현저히 멀리까지도 전파가 가능한 차이가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비말감염은 기본적으로 침을 통해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침이 에어로졸 형태로 떠다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감염은 기본적으로 공기를 통해 전파되므로 비말감염과 같이 사회적 거리두기로는 감염을 예방할 수 없습니다.

    • 비말 감염과 공기 감염의 차이점은 매개체의 차이입니다. 비말은 콧물, 침 등의 분비물을 말하는 것인데 비말 감염은 바이러스 항원이 이러한 비말에 들어있는 상태로 타인에게 전염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기침을 통해서 비말이 배출되어 그 비말이 타인의 호흡기계에 닿으면서 감염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반면에 공기 감염은 말 그대로 바이러스 항원이 공중에 떠다니면서 그것을 들이마신 사람이 감염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염력이 동일하다고 할 때에 비말 접촉보다 공기 접촉 감염이 훨씬 무섭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공기감염은, 공기 중에 반드시 미세 물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이 아닙니다. 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작은 입자들 속에 바이러스가 떠다니면서 감염을 시키는 것이며 때문에 비말감염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서도 전염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