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하늘은 왜 구름이 없고 푸르고 높나요?
10월 입니다. 벌써 가을이 다가왔네요
가을 날씨를 보면 하늘이 매우 파랗고 높고
구름 한점이 없어서 너무 이쁩니다
이러한 가을 하늘이 왜 그런지 과학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높고 푸른 가을 하늘의 이유
1. 빛의 특성
빛은 여러 파장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중 짧은 파장인 보라, 파란빛들은 긴 파장인 빨간빛보다 진동수가 더 크죠. 따라서 진동수, 즉 움직이는 횟수가 클수록 대기층을 지날 때 장애물에 의해 방해를 많이 받게 되므로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인답니다!
2. 건조한 가을
가을에는 대기 중에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가을에는 파장이 짧은 파란빛이 더 잘 산란 되기 때문입니다. 파란빛보다 파장이 더 짧은 보랏빛의 산란도 크지만 사람의 눈은 보라색보다 파란색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하늘이 보라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3. 기압
우리나라는 가을에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저기압과 달리 고기압은 하강 기류를 발생 시키고 따라서 대기 중의 먼지를 분산시키게 되죠.그 결과로 지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높은 고도에서 일어나는 산란까지 잘 보여 하늘이 높게 보입니다.
4. 구름
지면이 받는 태양빛이 여름에 비해 가을이 적다 보니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지 못해 상공 2km에 형성되는 '하층운'이 생기지 않고 상공 10km에서 생성되는 '상층운'이 주로 보여 빛의 산란과 고기압으로 가을 하늘이 유독 파랗고 높아 보이는 것입니다.
출처 : 교육부 블로그- 가을하늘과 빛의 사란의 관계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은 대부분 고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고기압의 영향을 받게되면 공기중에 머무르는 수분이 많이 없어집니다. 따라서 구름 형성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하늘이 높아보인다는 이야기입니다. 왜 그럴까요? 가을에는 주로 대륙에서 다가오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대륙에서 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습니다. 3ㅏ라서 구름을 만들기 어려워집니다. 가을에 보이는 구름은 대부분 적운인데, 상승기류가 강할 때 만들어집니다. 구름이 별로 없기에 낮동안에는 지표가 태양빛에 의해 가열되고 밤에는 반대로 지표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를 잡아두지 못합니다. 따라서 기온의 일교차도 크게 나타납니다.
봄에 비해 황사도 없고 대기 기온도 여름보다 낮아 안정적이어서 하늘이 더 깨끗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공기중에 머물던 먼지와 습기들이 이동하여 사라지게 됩니다.
이에따라 햇빛의 산란의 정도가 바뀌여 하늘이 더 짙은 푸른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는 마치 물이 깊을 때 나오는 색과 비슷하여 심리적으로 하늘이 높아보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 중의 기류가 안정적입니다. 기류가 안정적이면, 구름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을에는 구름이 적기 때문에, 하늘이 푸르고 높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대기의 안정성: 가을은 일반적으로 대기가 안정적인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정된 대기는 구름이 형성되기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가을 하늘은 구름이 적게 보일 수 있습니다.
2. 습도와 대기 조건: 가을은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고, 대기가 맑고 건조한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은 구름 형성을 억제하고, 푸른 하늘을 만들어줍니다.
3. 태양의 각도: 가을은 지구의 경사각이 변하는 시기로, 태양이 높은 각도로 비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태양의 빛이 직접적으로 더 많은 영역을 비추게 되면서 하늘의 푸른 색상이 강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