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세계경제 전망에 대해 알려주세요~
올 한해가 벌써 1분기는 넘어섰잖아요. 전문가들은 세계경제 전망을 어떻게 하는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과 미국 금리 변화, 세계 물가 흐름 등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 경제가 향후 10년 동안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총재가 경고했습니다. 올해 기록적인 수의 선거가 있고 "예외적인 불확실성과 수년 간의 충격으로 인해 불안감이 고조되는 시기에 높은 부채 수준과 싸우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며 지정학적 긴장이 세계 경제의 분열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덧붙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세계 경제전망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성장률
- 세계 경제성장률은 3.2% 내외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3년보다는 다소 높아지겠지만 여전히 역대 평균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국가별로는 중국, 인도 등 신흥국 경제가 4%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점쳐지는 반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1-2%대 저성장이 예상됩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과 설비투자 회복에 힘입어 2%대 초중반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물가 및 금리
- 세계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 중반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국가별 격차가 클 전망입니다.
- 미국은 인플레이션 진정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연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은 낮아졌습니다.
- 반면 유럽,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리스크 요인
- 지정학적 리스크, 기후변화, 고령화 등의 이슈가 경제에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 특히 미-중 기술패권 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공급망 교란 가능성이 상존합니다.
전반적으로 2024년에는 완만한 경기회복 기조가 예상되지만, 높은 물가와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여전히 불확실성이 상존할 것으로 내다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세계경제는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저금리와 저물가로의 완전한 복귀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한국 경제는 개선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글로벌 불확실성과 쌓인 위험 요소로 인해 하방 위험이 높습니다. 미국의 금리는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경제 전망
점진적 회복: 2024년 세계경제는 2023년과 유사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물가는 완화되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수 요인: 기술 보안 강화, 산업 정책 강화, 다중 블록체인 추세 등 불리한 패러다임 변화가 지속되며, 이는 2024년 글로벌 경제 풍경에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성장률 예상: 2024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1.8%로 예상되며, 이는 2년 연속 2% 경제성장률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영향 요인: 글로벌 교역 및 제조업 경기의 회복, 국제 원자재 가격의 안정화 등이 국내 경기 흐름 및 회복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금리 변화 전망
금리 하락세: 2024년 미국의 금리는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최종 정책금리 수준, 국채 발행량,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금리 인하 시기: 삼성자산운용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첫 금리 인하는 6월 또는 7월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2023년보다 2024년이 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나아질 것으로 보이고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더 나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도 내려갈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아무래도 현재 중동 정세가 불안하여
다시 원유가격이 오르는등 이에 따라서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한해의 경우에는 AI반도체가 산업의 성장을 이끌면서 다시금 원유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전쟁으로 인한 원유 가격 상승이 발생하게 되면서 CPI값이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금리인하 시점이 올해 10월쯤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미국의 경우에는 경제가 건재할 가능성이 높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고금리, 고인플레션율, 고환율 및 내부의 부채리스크로 인한 경제 위기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기라고 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올 한해 세계 경제의 전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이란 - 이스라엘 전쟁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올 한해 세계 경제는 다시 안개 속으로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불확실성이 엄청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