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모순이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했나요?

논리가 이치에서 어긋나서 앞뒤가 맞지 않은 경유늘 기리키는 단어인 모순은 댜어 자체의 의미는 창과 방패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의미를 기지게 된 것이 어디에서 유래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모순의 고사는 기원전 200년대 학자, 제자백가중 하나인 한비자가 쓴 [난일]에 나오는 고사입니다

    초나라에 "세상에서 제일 좋은 창"과 "세상에서 제일 좋은 방패"를 같이 파는 상인이 있었는데

    어느 손님이 "그창으로 그 방패를 찌르면 어찌되나?"라고 질문하자 아무 말도 못했다는 이야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矛盾 : 즉 창-방패.. 라는 각각의 글자 뜻을 가지고 있는데, 중국고사에서 어떤 방패도 뚫을수 있는 창, 어떤 창도 막을수 있는 방패..라는 두가지의 상품을 파는 상황을 빚대어 전해진 단어이며, 이는 성립할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Contradiction이라는 의미로 결국 단어의미가 정착되게 된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세상의 누구도 칠수없는 강속구 - 어떤 강속구라도 때려서 홈런을 치는 강타자.. 이런 동시에 성립불가한 명제라는 것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모순은 창과 방패를 가르키는 말로 중국 전국 시대의 한 상인 자신이 파는 창은 그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는 날카로운 무기라고 사람들에게 광고 했고 또한 자신이 파는 방패는 그 어떤 창도 막을 수 있다고 광고 했는데 이를 듣던 사람이 그럼 한번 그 창과 방패로 대결을 해보라고 하자 어쩔 줄 몰라 했다는 고사에서 비롯 된 성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