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인자한오색조101
인자한오색조10122.01.10

불안한 시기에는 어떻게 해결하는게 좋나요?

막막하고 불안해서 잠을 잘 못자는 시기가 있는데

수면유도제같은 약을 먹어야 잠을 자요. ㅠㅜ 어떻게 해야 불안감같은걸 진정시키고 그냥 잘수 있나요?

심리상담같은걸 받는 방법밖에 없나용?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동설 심리상담사입니다.

    수면장애 대부분 심리적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 분노, 압박감등 많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신체적 긴장, 각성등으로 이어져 잠을 자더라도 깊게 자지 못하거나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경우 자기전 스마트폰 사용은 절대 하지 마시고 따뜻한 물로 반신욕이나 따뜻한 우유를 한잔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정이유로 인할수도 있고 일시적이나 만성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심적인 안정을 취하시고 좋아하는 활동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풀어보세요.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상담기관이나 전문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수면유도제는 일시적 처방일 뿐입니다.

    그것에 너무 의존하면 약물중독이 됩니다.

    스스로 잠을 자는 습관을 들이셔야 해요.

    낮에 자신이 몰입할 수 있고 정말 원하는 일을 찾아서 열심히 하시고 운동을 격렬히 해서 몸을 최대한 피곤하게 해 보세요.

    그러면 밤에 저절로 잠이 올 거예요. 그리고 낮엔 일찍 일어나시구요.

    그리고 잠이 안 오면 따뜻한 우유를 한 잔 마셔보세요..ㅠ.ㅠ......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불안감이 지속되어 수면에 방해를 받을수있습니다.

    가능하면 수면에 좋은 활동을 꾸준히 해주면 좋습니다.

    낮시간동안 1시간정도는 꾸준히 운동을 하거나 자기전에 스트레칭을 하거나 따뜻한 차를 마시거나 하는것도 도움이될것이며

    자기전에 휴대전화나 영상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수면에 도움이될것입니다.

    스스로 어떤 방법을 찾기 힘들다면 상담을 받으면서 그 길을 찾아가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심리상담이 안좋은게 아닙니다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듯이 마음이 아프면 똑같이 병원에 가야지요

    근처 심리상담을 해주시는곳에 가셔서 상담을 한 번 받아보시는설 추ㅜ천 그립이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막막하고 불안한 사유에 대하여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불안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면, 하도못해 최소한 정리할 수 있다면 원만한 수면을 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장이심리상담사입니다.

    낮동안 스트레스를 덜 받도록 해주세요

    주변사람과 관계를 좋게하는 것도

    스트레스 덜 받는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몸을 조금 피곤하게 만들어서

    밤에 잠을 잘 자도록 해보는 겁니다

    허브차를 마시면서 마음을 안정을 가져보세요

    주무시는 잠자리는 편안하게 만들고

    핸드폰은 잠시 꺼두는것도 좋아요

    오늘밤 숙면하길 바랍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수면장애가 있다고 하시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너무 늦게 잠을 청하지 마시고 잠들기 직전이 아닌 식사 전후에 가벼운 운동을 하시고 따뜻한 우유나 카페인이 함유되지않은 차를 마시어 안정감을 주는 것은 어떨까요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잠을 청하는 것에서 어려움이 보여보입니다.

    잠에 얼만큼 빨리 드시는 지 잘 모르겠지만 수면이 안온다고 수면제를 먹는거면 비추천합니다.

    수면제로 인하여 두통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된 수면장애가 있지 않는 이상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가벼운 운동 등을 밤마다 하면서 체력적인 소모로 인하여 잠에 취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건강과 수면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대에 누으면 핸드폰을 멀리하고 다른 생각을 줄이면서 눈을 감고 마음을 비우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스스로 심신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럼에도 안될 경우에 약의 도움을 받는 것이고요.

    평소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 잦은 휴식을 취해 주시고

    가능하다면 시간을 내어 명상이나 가벼운 산책을 함께

    해주시면 머리도 맑아지고 좋습니다.

    취침 간에는 따뜻한 차나 우유도 도움이 되고요

    무엇보다 침실의 적정한 습도 유지와 은은한 조명 등으로

    숙면을 해보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은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 됩니다. 잠이 안 온다고 수면제를 넘는 경우가 많은데, 남용하면 의존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잠을 못 잘 때는 무작정 수면제를 찾지 말고 잘못된 수면습관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수면습관을 위한 방법으로 수면위생 돌보기 방법, 자극제어법, 수면제한법 등이 있습니다.

    수면위생 돌보기 방법에는 / 졸리지 않으면 눕지 말기 / 졸릴 때 눕기 / 침대에서는 책읽기, TV시청 등을 피하고 잠만 자기 / 커피, 담배, 술 끊기 / 낮잠 줄이기 / 적절한 운동 / 밤에 TV나 라디오 멀리 하기 / 자기 전 미지근한 물로 목욕하기 / 과식하지 않기 / 이완요법(복식호흡) 배우기 / 편안한 잠자리 마련 등이 있습니다.

    자극제어법은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기 / 낮에 침대에 누워 있는 시간을 줄이기 / 필요하면 30분 이내로 눕기 / 잠이 오지 않으면 약 20분 정도 거실에 나가 있기 / 잠이 온다면 침실로 들어가기 / 잠이 오지 않으면 다시 거실로 가기 등입니다.

    수면제한법은 누워 있는 것도 자는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하기 / 잠이 오지 않으면 누워 있지 말고 누워 있는 시간 줄이기 / 조금 덜 자면 다음에 더 잘 잘 수 있다고 생각하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