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를 놓을때 고려해야될 리스크는 뭔가요??
전세를 놓게 되면 고려해야될 부분이 2년뒤 아파트 시세가 떨어질거 생각해서 전세가를 줘야하나요? 전세 리스크가 뭔지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전세리스크는 현재 전세가보가 퇴거시 전세시세가 더 떨어진 경우라 볼수 있겠습니다.여유가 되신다면 주변 전세시세 보가 낮은 가격으로 임대하시면 되겠죠.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전세를 놓게 되면 고려해야될 부분이 2년뒤 아파트 시세가 떨어질거 생각해서 전세가를 줘야하나요? 전세 리스크가 뭔지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전세가격은 현재 시세를 고려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전세 리스크는 계약기간이 종료가 되면 나중에 원상복구 문제가 있는 만큼 입주 전에 철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임대를 주는 입장에서는 그냥 지금 받을 수 있는 최대를 받으시면 됩니다.
그 돈을 다른데 투자 또는 사용해서 다 없어지지만 않는다면 지금 받을 수 있는 최대를 받아놔야 은행이자라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세가는 그때그때 시세에 맞게 놓으시면 됩니다
요즘같이 전월세가 안나갈때는 사실 문제가 많았습니다
세입자가 나간다고 할때 많이 받은 전세가를 내려서 방을 내놓으면 그래도 방이 나가는데 임대인이 내려줄돈이 없을때 가장큰 문제였습니다
그래도 요즘아파트 전세가는 오르고 있습니다
시세대로 놓으시고 그때가서 내린다면 내린가격으로 내놓으시면 됩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2년뒤에 전세가격은 누구도 확실하게 예상은 할수 없기 때문에 임대차를 진행하는 시점에서의 시세대로 임차인을 구하는게 맞습니다. 전세리스크라는게 임대인, 임차인 모두에게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으며, 임대인의 경우는 질문에서처럼 2년뒤 전세가격하락에 따른 보증금 반환문제에 대한 리스크는 현 시점에 낮은 보증금보다는 임대인에게 받은 보증금에 대해서 2년뒤 반환이 가능토록 자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게 리스크 대비에는 더 효율적일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임대인이 건물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유지보수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가 가장 큰 리스크 일것으고 미리 시세가 떨어질 것을 생각해서 낮은 전세가를 제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현재의 시장가로 내 놓으시면 되고 추후 2년후에 떨어진다면 다시 협상을 하시던 집을 내 놓으시면 됩니다.